금리를 인상시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소비자물가를 잡을 수 있는 걸까요? 금리에는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있는데 기준금리를 높이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높아져서 소비자들과 기업이 소비보다 예금을 더 많이 하게 될까요? 사실 이건 아닐 것 같은데.
또 한편으로 기준금리를 높이면 대출금리가 높아져서 소비자들이 대출을 통해 하는 자산매입과 소비가 줄어들어 전체적인 자산시장 가격 상승을 통한 자본이득이 줄어들고 소비 또한 줄어들고, 기업 입장에선 대출이 어려워지고 앞에 이유들로 인해 주식시장에서 유상증자가 어려워져 투자여력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정부가 물가상승을 잡을 수 있는 걸까요?
막대한 유동성부채의 해결이 금리인상방법 이나 테이퍼링 / YCC 등 여러 정책이 있을거 같은데 저는 자꾸 비트코인같은 암호화폐자산의 붕괴로 어느정도 해소될꺼같은 뇌피셜이 듭니다. 주식자산의 붕괴를 중앙정부는 원치않으니 말이죠.. 금리인상이외의 수단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가상자산규제에 부채해결방법이 있다고 봅니다..미래 과연 비트코인이 자산가치저장수단이 될지 막대한 부채의 해결책이 될지 궁금해집니다...
운전하다 가끔 라디오를 통해 박사님 설명을 듣고 명쾌하고 간결하게 요점을 잘 짚어주시는거 같아 디플레 전쟁 책도 사보고 경제가 더 쉽고 재밌게 하나하나 배워가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지금 원자재 값이 계속 오름세에 있는데 금리가 오르면 원자재는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오늘 갑자기 든 생각이 홍춘욱박사님이 디플레를 주장하시는데.. 왠지 그 말이 맞을 것 같단 생각이 많이 드네요. 돈의역사를 집필하셨으니.. 지금 읽고 있지만... 갑자기 일본의 플라자합의때문에 저금리 정책유지를 해서 거품붕괴되는 시나리오가 갑자기 오버랩이 되는데 박사님의 생각도 비슷한가요.? 그 트리거가 금리인상으로 일어나지 않을까하는.. 좀더 자세하게 봐야되겠네요.. 일본의 거품붕괴를요
@user-fl7uy9wo3c 8
2021년 5월 06일 07:07물가가 장난아닙니다 ..가격이 오르던지 품질이 떨어지던지 ..큰일이네요 경제정책을 정말 잘해야하는데 최악의 무능정권을 만나서 공포가 밀려오네요
@Matou-Sakura 3
2021년 5월 06일 18:09근데 신용도와 이자율의 상관관계도 모르는 정치인들이 많아요~ 아주 많아요~ 그것도 꼭대기에요
@tube-wt8uy 3
2021년 5월 06일 07:13감사합니다
@user-fj1ud7nr6m 2
2021년 5월 06일 07:05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dongminyoo1456 2
2021년 5월 06일 07:13감사합니다
@Konggongya 2
2021년 5월 06일 13:39미 재무부 한마디에, 기술주 툭툭 떨어지고 ㅠ곡물,철강 들은 슈퍼 사이클에.., 실질 구매력이 줄어들면 원자재들도 제가격을 찾아가는게 수순일까요? 최신 뉴스에 발맞춰 이야기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후니요가 Hooni Yoga 1
2021년 5월 06일 07:06박사님 책 잘 읽고 있습니다 존경합니다~!
@frantant 1
2021년 5월 06일 06:58감사합니다!!
@jeongby1164 1
2021년 5월 06일 07:59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user-rf7od7te4r
2021년 5월 06일 06:50언제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ojs1231
2021년 5월 11일 21:16따봉!!
@sslee546
2021년 5월 07일 19:32감사합니당ㅎ
@user-hk9cg9ep3u
2021년 5월 06일 20:19잘보고 갑니다
@miximalism1304
2021년 5월 06일 09:58금리를 인상시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소비자물가를 잡을 수 있는 걸까요? 금리에는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있는데 기준금리를 높이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높아져서 소비자들과 기업이 소비보다 예금을 더 많이 하게 될까요? 사실 이건 아닐 것 같은데.
또 한편으로 기준금리를 높이면 대출금리가 높아져서 소비자들이 대출을 통해 하는 자산매입과 소비가 줄어들어 전체적인 자산시장 가격 상승을 통한 자본이득이 줄어들고 소비 또한 줄어들고, 기업 입장에선 대출이 어려워지고 앞에 이유들로 인해 주식시장에서 유상증자가 어려워져 투자여력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정부가 물가상승을 잡을 수 있는 걸까요?
@user-li4qo4gz2c
2021년 5월 07일 19:47막대한 유동성부채의 해결이 금리인상방법 이나 테이퍼링 / YCC 등 여러 정책이 있을거 같은데 저는 자꾸 비트코인같은 암호화폐자산의 붕괴로 어느정도 해소될꺼같은 뇌피셜이 듭니다. 주식자산의 붕괴를 중앙정부는 원치않으니 말이죠.. 금리인상이외의 수단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가상자산규제에 부채해결방법이 있다고 봅니다..미래 과연 비트코인이 자산가치저장수단이 될지 막대한 부채의 해결책이 될지 궁금해집니다...
오재영
2021년 5월 06일 07:57감사합니다.
@sent28
2021년 5월 12일 01:14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예전 박사님 말씀대로 주식과 채권의 조합으로 자산배분을 하고싶은데 채권은 가격이 하락할때 들어가는게 맞는건가요? 아직 들어갈 시기를 못 잡고 있어서요..^^; 계속 모니터링 중입니다...
@jihyeonlee1001
2021년 5월 06일 14:44운전하다 가끔 라디오를 통해 박사님 설명을 듣고 명쾌하고 간결하게 요점을 잘 짚어주시는거 같아 디플레 전쟁 책도 사보고 경제가 더 쉽고 재밌게 하나하나 배워가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 지금 원자재 값이 계속 오름세에 있는데 금리가 오르면 원자재는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dramah8423
2021년 5월 06일 22:06금리가 상승하는시기 이는곧 경기과열로 이해해도 될듯 한데 이시기에 하이일드채권 투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user-ef7si4ny6o
2021년 5월 07일 14:11오늘 갑자기 든 생각이 홍춘욱박사님이 디플레를 주장하시는데.. 왠지 그 말이 맞을 것 같단 생각이 많이 드네요. 돈의역사를 집필하셨으니.. 지금 읽고 있지만... 갑자기 일본의 플라자합의때문에 저금리 정책유지를 해서 거품붕괴되는 시나리오가 갑자기 오버랩이 되는데 박사님의 생각도 비슷한가요.? 그 트리거가 금리인상으로 일어나지 않을까하는.. 좀더 자세하게 봐야되겠네요.. 일본의 거품붕괴를요
@JAMES-qu6qh
2021년 5월 07일 11:34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