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안전 지향적인 투자를 추구한다는 것은 천천히 죽어가는 것이다" 요즘같은 제로 금리에 딱 맞는말씀인 것 같습니다. 명심하겠습니다. 아울러 오늘 새로 독서 중인 책 "채권쟁이 서준식의 다시 쓰는 주식투자 교과서"에 박사님의 추천글이 있어서 더욱 기뻤습니다. 열심히 정독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간결한 내용이지만 얻는 건 많은 영상입니다. 집을 갖고 싶다는 마음 그리고 갖고 나서는 좋은 집으로 이사가고 싶다는 마음으로 갈아타기를 하다 보니 마흔에 순자산 30억에 육박했습니다. 이러다보니 자연스레 위험감수의 가치를 알게 되었고 현금 4-5억원은 주식 채권 금 등에 분산해서 운용 중입니다.(달러 베이스)
40대 분들 위험 자산에 투자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리스크를 회피했다고 생각하신다면 잘못된 것 아닐까요? 지나치게 안전 자산만 추구하시다가 물가상승만큼만 겨우 쫓아간다면 제대로 투자하지 않는 것이고 이 것도 리스크를 가지는 것입니다.. 이 채널 구독하시는 40대 분들 잘 투자하셔서 풍족한 노후 생활 누리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개인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노후 준비를 제대로 해주셔야 본인들도 행복하시고 조카 세대, 자식세대들도 편해집니다 ㅠ
국민연금제도가 해체되고, 개인연금제도를 대기업에서 해야합니다. 그래야 서로 운용잘하려는 시장이 형성될겁니다. LH를 주택공급시장도 해체되고, 대기업 건설사가 해야합니다. 그래야 서로 잘지으려는 시장이 형성됩니다. 자꾸 대기업 의존화, 독점화를 얘기하다가 지금 세금만 내고 괴로워하는거 아닙니까 그리고 정치세력들에게 로비줘야되고요.
올려주시는 영상 잘 구독하고 있습니다. 4:33 부터 나오는 종류의 그래프에서 늘 궁금한 것이 있었는데, 소득수준별 자산 분포가 저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0~50% 구간, 95~99% 구간, 99.9~99.99% 구간의 가처분소득의 차이가 상당할 테고 그것이 결국 저 자산형태별 분포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축하기 빠듯할수록 역으로 얼마 되지 않는 여윳돈은 예금으로 담아둘 것이고, 주머니가 넉넉하고 사업소득/재산소득이 좋을수록 생활에 드는 돈 이외의 여윳돈을 위험 감수하며 투자해 볼 여지도 많고 기회도 많고 그럴 마인드도 더 있을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소득구간별 가처분 소득 차이가 저 그래프에 함께 반영되거나 또는 별도의 그래프로 함께 보여진다면 위 내용을 다각도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될 것 같아 의견을 드립니다. 언젠가 한번쯤 고려해 봐 주세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영상 잘 봤습니다. 보는 동안 . 왜 40 대 들이 안전자산에 높은 비율로 포트를 짜는지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 지금의 40대들은 빚으로 얻은 집과, 태어난지 얼마되지 않은 자녀, 그리고 노후를 서폿해야 되는 부모님, 등등 환경적으로 조금만 실수를 하게 되면 가정이 무너진다는 불안감 때문에 리스크를 더 무서워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 경제분야에 대한 관심과 공부를 하면 할수록 기회가 많아 질수 있다는 확신을 선생님의 영상을 통해서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kyvet1424 32
2021년 5월 10일 07:3240대 여러분
일.잠.일.잠.일.잠.
아..또다시 아침이네요
일하러 갑시다
@촉촉-s3s 27
2021년 5월 10일 07:42짧고 간결한 내용인데
내 생각은 늘어난다.
언제나 건강하시고 좋은 방송 많이 부탁드립니다
sw Y 25
2021년 5월 10일 08:59한국형 401k 도입이 시급함 ~
김똑똑 23
2021년 5월 19일 19:45그러다 훅가서 집도 절도 없고 이혼 당하고 혼자 원룸 사는 사람도 있는데..
너무 욕심내지 않고 얊고 길게 사는것도 나쁜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푸링푸링-v8n 18
2021년 5월 10일 09:08보여주시는 통계자료...전체 40대가 아니고 서울및 4대 광역시 거주 40대 1000명인걸로 알아요.
@gadnia79 16
2021년 5월 10일 09:05개인연금 수익률의 실체 놀랍습니다. 늘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ndrw5580 16
2021년 5월 12일 18:20감성에 잘 휘둘리고 순수한세대인데 정치도 본인의 경제도 결국 말아먹군요
@robertshin2536 16
2021년 5월 10일 09:22퇴직연금 관리 심각합니다.. 적극적으로 DC형을 분산했더라면 매년 10% 내외의 복리를 누렸을 것입니다.
@킴라파엘-m4o 15
2021년 5월 10일 11:00살벌하네요. 정신이 번쩍 듭니다. 야간 근무 끝나고 아침에 퇴근한 40대 입니다.
@tjdls 15
2021년 5월 12일 17:5140대는 근로소득에 비해서 낮은 수준의 자산을 가지고 있다 ==> 즉, 근로소득이 가장 중요하다는 개념이 되고, 자산의 규모가 크지 않은지라 자본소득이 적거나 아예 0인 사람이 대부분이란 말이죠. 바꿔말해, 좌성향이 가장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김범태 14
2021년 6월 04일 02:0440대가 경제적으로 생각보다 힘드네요.. 이러한 소득수준을 보여주니 정치적성향이 좌파에 치우친것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가 가네요
@권로니-j2z 13
2021년 5월 10일 10:48박사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안전 지향적인 투자를 추구한다는 것은 천천히 죽어가는 것이다" 요즘같은 제로 금리에 딱 맞는말씀인 것 같습니다. 명심하겠습니다. 아울러 오늘 새로 독서 중인 책 "채권쟁이 서준식의 다시 쓰는 주식투자 교과서"에 박사님의 추천글이 있어서 더욱 기뻤습니다. 열심히 정독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Konggongya 12
2021년 5월 10일 12:15boiling frog..가 되고 싶지 않으면 쉴때가 아니네요 , 이민 이유중 하나가 연금, 노후 문제였거든요 ㅠㅠ 오늘도 감사합니다 !
Kevin Kill 10
2021년 5월 11일 04:4840대가 마지막 유교적 한국인세대라 봅니다.
@bmkim5096 10
2021년 5월 12일 20:24게으른 자가 선호하는 자산 보유 방식이 예금입니다. 그들은 결코 투자를 위한 공부를 하거나 투자리스크를 부담하려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그들은 심지어 투자를 투기라고 비난하며 그들의 게으름과 무사안일을 정의로운 것이라고 믿기까지 하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이브이-g1n 9
2021년 5월 10일 13:06저는 오히려수익율 -났어요 결국 그돈 빼서 집사는데보탬
도지보로 8
2021년 5월 16일 12:5440대가 금융문맹 마지막세대라 생각합니다. 부동산 보유가커요.
@안산-m4g 7
2021년 5월 10일 12:47얼마나 절실한 과제인지 보여주려고 하시는
평소와는 다른 어조와 표정
잘 보고 갑니다
전문직인 저도 작년 9월 부터 공부를 시작 했음에도 왜 미리 알지 못했나 후회되는데
학교에서 돈에 대한 공부가 커리큘럼으로 들어갔음 좋겠습니다
동안대디 7
2021년 5월 10일 07:05회사 퇴직후 현직 직업상담사&사회복지사로 일하고 있는데..갈수록 양질의 일자리는 없어요..뽑질 않아요..ㅠ
20,30대도 그렇고 4,50대도 그렇고..60 이후는 말할 것도 없고..
@LEELEE-bx3zo 7
2021년 5월 20일 21:31대한민국 현실, 자본주의에 대한 무지함을 꼭 짚어주시는 영상입니다. 강추!!
@SRC-n4j 6
2021년 5월 10일 06:58오늘은 좀 쎄네요.감사합니다.
@은정-c5b 6
2021년 5월 10일 09:21유익한강의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윤퀀트요리 6
2021년 5월 11일 08:22인트로 간결해서 좋네
Vvgghkk Vvffgghhhj 5
2021년 5월 10일 06:50홍춘욱 이코노미스트님
저 대한민국 40대가 사는법 네이버 블로그에서 봤어요
저는 연금3단계를 준비중입니다.
1.국민연금
2.퇴직연금=dc형>은행예적금에서 미래에셋대우tdf2045전략배분 종목에 퇴직연금 100% 넣고요
3.개인연금은 >주식해서 대체중입니다.
개인연금은 etf투자가 좋고요
4.국민연금, 퇴직연금, 주식등 수익률은 소득대체율 2%보다는 높아야한다고 배웠어요
5.60세~100세를 늦게나마 준비중 입니다.
J J. 5
2021년 5월 13일 13:28어느 투자자가 한 말이 생각나네요.
저금리 시대에 저축만 하는 것은 아주 안전하고 꾸준하게 가난해지는 방법이라고요..
다들 투기 말고 투자해서차차 부자되시길..
@솔기-f2j 5
2021년 5월 12일 21:5950대가 근로소득이 젤 높지요...회사에서 50대를.잘 버텨야..
기사도TV-쉬운재테크- 5
2021년 5월 10일 07:30'하찮은'이란 단어에서 내공을 느겼습니다 ㅎ
@billygr183 5
2021년 5월 10일 07:40점점 힘들듯....
@jinoodaddy8363 5
2021년 5월 14일 21:15간결한 내용이지만 얻는 건 많은 영상입니다. 집을 갖고 싶다는 마음 그리고 갖고 나서는 좋은 집으로 이사가고 싶다는 마음으로 갈아타기를 하다 보니 마흔에 순자산 30억에 육박했습니다. 이러다보니 자연스레 위험감수의 가치를 알게 되었고 현금 4-5억원은 주식 채권 금 등에 분산해서 운용 중입니다.(달러 베이스)
@JC-bs6hn 4
2021년 6월 15일 15:01소득에 비해 씀씀이가 큰 것도 자산이 적은 이유
과유불급 4
2021년 5월 10일 07:3440인데요, 모두 하찮은 수익률을 내고 있어서 걱정이에요. 마이너스도 있구요.
너무 어려워요.
@알수없는떠버리 4
2021년 5월 10일 12:58회사서도 고되고 돈굴리기도 고되고 ㅎ 아랫분 말씀처럼 한국형 401k 도입적극지지!
@JJ-fb2lp 4
2021년 5월 27일 00:46전 30대지만...한국 걱정입니다..제일 큰 걱정들이 저출산과 집값버블터지게되면 초래할 경제적인 악영향인데..부디 잘해결되길 바랍니다.
@judykim402 4
2021년 5월 10일 10:19저 40대인데.. 투자나 노후에 대해 그동안 생각을 안하고 살았네요.. 열공중입니다..
@초코칩-l2n 4
2021년 6월 03일 22:2840대인데,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재테크에 대한 지식을 쌓고 실행해야겠습니다~
@분할적립 3
2021년 7월 01일 19:1840초반에 홍춘욱님 도서도 읽고 이런저런 경제관념에 관시을 가지게 되서 지금은
늦었지만 개인연금, IRP 직접관리하고
자산은 50% 예금, 50%투자 하고 한국, 미국 주식에 또 나눠서 하고 있습니다.
항상 늦게 시작한 만큼 아직 부족하지만
분산투자 열심히 하겠습니다.
@inkookkim3327 3
2021년 5월 10일 09:3840대 분들 위험 자산에 투자하지 않는다고 생각해서 리스크를 회피했다고 생각하신다면 잘못된 것 아닐까요?
지나치게 안전 자산만 추구하시다가 물가상승만큼만 겨우 쫓아간다면 제대로 투자하지 않는 것이고 이 것도 리스크를 가지는 것입니다..
이 채널 구독하시는 40대 분들 잘 투자하셔서 풍족한 노후 생활 누리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개인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노후 준비를 제대로 해주셔야 본인들도 행복하시고 조카 세대, 자식세대들도 편해집니다 ㅠ
@꿈꾸는산림 3
2021년 5월 10일 11:56좋은 지적이고 꼭 바뀌어야 하는 투자행태입니다. 그렇다면 왜 그렇게 되었는가? 금융업에 종사하는 분들의 책임도 있다고 봅니다.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요즈음은 나아졌다고 생각하는지도 궁금하내요. 악습 지속, 개선, 오해 섞여 있을 것입니다. 방송주제로 어떻습니까?
@junelee5119 3
2021년 5월 10일 08:01항상 유익한 정보 전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노후에 대해서 항상 고민하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언제한번 만나 뵐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싶습니다.
@mjkim5410 3
2021년 6월 04일 10:40모든 영상이 짧아서 너무 좋습니다. 골라보는 재미도 있구요. 다양한 주제내에서 간결하고 명료하게 설명해 주시니 지루할 수 있는 경제 이야기가 재미있게 들립니다.
남자의마음은갈대 3
2021년 5월 16일 11:35국민연금제도가 해체되고, 개인연금제도를 대기업에서 해야합니다. 그래야 서로 운용잘하려는 시장이 형성될겁니다.
LH를 주택공급시장도 해체되고, 대기업 건설사가 해야합니다. 그래야 서로 잘지으려는 시장이 형성됩니다.
자꾸 대기업 의존화, 독점화를 얘기하다가 지금 세금만 내고 괴로워하는거 아닙니까
그리고 정치세력들에게 로비줘야되고요.
박쥰 2
2021년 5월 10일 21:20굿굿굿
@brillian2you 2
2021년 5월 11일 11:09올려주시는 영상 잘 구독하고 있습니다. 4:33 부터 나오는 종류의 그래프에서 늘 궁금한 것이 있었는데, 소득수준별 자산 분포가 저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0~50% 구간, 95~99% 구간, 99.9~99.99% 구간의 가처분소득의 차이가 상당할 테고 그것이 결국 저 자산형태별 분포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축하기 빠듯할수록 역으로 얼마 되지 않는 여윳돈은 예금으로 담아둘 것이고, 주머니가 넉넉하고 사업소득/재산소득이 좋을수록 생활에 드는 돈 이외의 여윳돈을 위험 감수하며 투자해 볼 여지도 많고 기회도 많고 그럴 마인드도 더 있을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소득구간별 가처분 소득 차이가 저 그래프에 함께 반영되거나 또는 별도의 그래프로 함께 보여진다면 위 내용을 다각도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될 것 같아 의견을 드립니다. 언젠가 한번쯤 고려해 봐 주세요! 감사합니다.
Kasandra 2
2021년 5월 10일 09:5440대입니다. 인생 ㅆㅂ입니다.
주기장 2
2021년 5월 10일 07:38박사님 ㅎㅎ 저는 아직 애가 없어서 투자 자산이 많은데요. 제친구들은 애들 키우는데 현금 자산이 커요 ㅎㅎ 집담보잡아서 치킨은 못 사먹자나요 ㅎㅎ
JR Kim 2
2021년 6월 02일 06:1340대=깨문이
brogee Kim 2
2021년 5월 10일 10:39퇴직연금에 안정형 자산 30프로 억지로 넣게 할게아니라 오히려 최소한 30프로정도는 국민연금 포트폴리오나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강제로 넣게 해야하는게 아닌가 싶어요
@스마트-r4p 2
2021년 6월 13일 11:36우리나라 40대의 문제는 노후대비 자산에 투자보다 자녀의 사교육비에 너무 많이 부담할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죠.ㅠ
@yoongoona 1
2021년 6월 24일 07:55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
눈꽃Snowflake 1
2021년 5월 11일 11:19연평균 최소 2.3(물가상승률)+2(이용자가 생각하는 은행이 줘야하는 최소이율) = 연평균4.3%는 나와야 하는거네요.
눈꽃Snowflake 1
2021년 5월 11일 11:08워 실버버튼 너무 축하드려요!
DC컴 1
2021년 5월 12일 07:38이미 망했습니다...
Hyunchul Kim 1
2021년 5월 12일 00:04서두에 개인연금과 퇴직 연금의 수익률이 매우 낮다고 하셨는데 말마에는 그 둘다 하라고 하셨네요? 그리고 저런 연금 투자의 낮은 성과는 금융회사에서 운용 수수료가 너무 높은 이유 아닌가요?
상가투자, 토지투자 김종율TV 1
2021년 5월 24일 02:14형님..저 40댄데요... 저 이제 굶어 죽는 건가요?? 어흐흑
@레드코끼리 1
2021년 5월 29일 05:25감사합니다 선생님
신은아 1
2021년 5월 15일 15:03우리남편도 40대 인데 정말 아무걱정도 없고경제 에 관심도 없어요
@떵현다졸 1
2021년 5월 13일 20:42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허나 이 보고서 내용이 안정적으로가면 답없다인데요. 위험하게가도 답이 없거든요. 어쩌라는건지 결론이 모호하네요?????
@몰라괜찮아 1
2021년 5월 10일 08:15대박강의 감사합니다
@Ken1105TO 1
2021년 5월 10일 06:52감사합니다 😊
@정원하늘-l9t 1
2021년 5월 10일 07:02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문응-c2g 1
2021년 6월 05일 19:3740대가 아이엠프 이후 세대인데다가 서브프라임 등 굵직굵직한 경제위기를 겪다 보니 위축된 것도 좀 있어 보이고 그리고 경제교육에 대한 중요성 보다는 한물간 이념에 대한 영향을 마지막으로 살짝 받은 세개인지라 자본소득을 극도로 혐오하는 사람들이 의에로 많은 것 같습니다.
오동나무 1
2021년 5월 10일 21:03박사님, ESG, 지구의 이산화탄소 증가에 대한 대책에 대한 영상도 함 만들어 주실 수 있는지요? 이 건이 심각하다고 하던데요.
@beom2317 1
2021년 8월 13일 01:20선생님 영상 잘 봤습니다. 보는 동안 . 왜 40 대 들이 안전자산에 높은 비율로 포트를 짜는지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 지금의 40대들은 빚으로 얻은 집과, 태어난지 얼마되지 않은 자녀, 그리고 노후를 서폿해야 되는 부모님, 등등 환경적으로 조금만 실수를 하게 되면 가정이 무너진다는 불안감 때문에 리스크를 더 무서워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 경제분야에 대한 관심과 공부를 하면 할수록 기회가 많아 질수 있다는 확신을 선생님의 영상을 통해서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bestsong10004 1
2021년 6월 20일 00:48적극 동감합니다. 퇴직연금은 거의 신경 안쓰고 있다가 1-2%대 수익율에 충격먹고 주식 위주로 재편한 결과 올해 수익율은 20% 정도가 됐네요. 인플레이션과 돈의 가치 하락을 상쇄해줄 수 있는건 주식, 부동산밖에는 없다고 봅니다.
@twpark92 1
2021년 5월 10일 20:39박사님 말씀 경청하면서 투자하고 있습니다. 은퇴 후, 제 투자의 결실로 자유로운 시간을 얻을 수 있게 되길 원합니다.
@JK-xy3zn 1
2021년 5월 11일 07:42KB금융이나 하나은행등에서 매년발행하는 부자보고서 같은 텍스트 매년 읽어보면 느끼는게 많습니다. 저는 80년생으로 현재는 비트코인 투자중입니다. 주변에 안좋은시선있지만(?) 저는 위험관리 하겠습니다 내용 감사합니다.
@klucky3568
2021년 5월 12일 10:37박사님 질문이 있습니다. 지금 주식처럼 장기우상향하는 자산에 투자해야 한다던데
포트폴리오에 미국 TLT같은 장기국채ETF를 정기적으로 매수하는건 어찌 보시나요? 향후 금리상승이나 이미 과거에 비해 너무 낮은 금리상태에서 채권도 주식처럼 장기우상향하는 자산이 맞을까요?
Moira
2021년 5월 10일 12:29대한민국 40대...
사회주의에 더 관심이 많으니
...당연한 결과 이지....
은퇴이후에도 계속 그럴지
지켜보곘습니다...
@장그루누이
2021년 5월 10일 13:23안녕하세요!? 오늘도.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Irp를 미국.중국.몇 개펀드로 분산했는데 수익률이 형편없네요. 차라리 그냥 환율 유리할때 미국채나 리츠를 직접투자하는게 나은지 고민이 됩니다. 세액공제가 매력적이기는 한데 환헤지가 대부분 되어있어서 언제나 말씀하시는 달러자산 투자가 안되는것 같습니다...ㅜㅜ
@chaiun2517
2021년 6월 09일 16:55감사합니다.
@콕스킹
2021년 5월 30일 21:59인싸이트.감사합니다. 개인연금 리밸런싱 하겠습니다
@철수정-i9w
2021년 6월 13일 09:34감사합니다^^
@김동현-b1j5r
2021년 5월 20일 17:27구독과 좋아요 꾹~~^^
Ryan Mac Kim
2021년 5월 12일 00:29👍
Best Miner
2021년 5월 10일 12:10대체적으로 금융지식이 너무 부족함
일단 금융을 필수 과정으로 지정해서 금융문맹에서 탈출해야함
말아톤
2021년 5월 10일 12:19개인투자 시작하는순간 지옥시작인건 알고하자.
BJ C
2021년 5월 10일 10:48후후.. 내 퇴직연금은 msci acwi etf 인데 41살에 시작해 지난 13년간 평균수익율 대충 9.0% 정도..
@최성현-k5y
2021년 5월 11일 17:27안녕하세요. 이제 사회생활 5년차인 30살 직장인인데요, 동영상을 보니 공부를 많이 해서 투자를 하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공부의 방향성을 잘 잡을 수 있거나, 투자를 체화할 방법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는 좋은 조언이나 책이 있을까요?
@강길수-h3f
2021년 5월 30일 17:09무라카미 하루키 좋아하시는군요... 저도
j3sun
2021년 5월 10일 10:00축하드려요~실버버튼
Red Lemon
2021년 5월 22일 14:17흠, 1%에 속하기 위해서요?
GyuJin LEE
2021년 5월 10일 12:45평균 40대님들, 부동산 상속하지 말고 역모기지론으로 은퇴소득 얻으세요. 개인연금은 물가상승 반영 안 되니까 유의하세요. 연금도 일시금이 아닌 정기적으로 받으세요. 20대의 조언입니다.
미움받을용기
2021년 5월 10일 11:47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깨문이 제일 많은 세대
CH JUNG
2021년 7월 14일 10:35대부분 사람들이 점점 뜨거운 물에 개구리라는 것을 몰라요. 여러 개구리들이 같이 물에 있으니 괜찮을 거야하면서~
suk ou
2021년 6월 28일 06:38저소득층안정적으로 갈수밖에 없는건
여유돈이 없기때문에 알아도 심리적으로
어려운현실이죠
PT SC
2021년 5월 23일 00:00사백?ㅋㅋ
Ko Je
2021년 5월 11일 13:58코인시장은 작년부터 올해 시장 수익률이 1000%가 넘음 위험자산에 돈이 물리는 시기 그만큼 조심도 해야할 때
장세일
2021년 8월 01일 10:18감사합니다.
SJ KIM
2021년 5월 23일 01:08행님 응원합니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