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노우즈 (데이터는 답을 알고 있다) 대표 김기원입니다. 제 동영상이 아무쪼록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서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리치고(부동산부터 주식까지. 주식 리치고는 6월 오픈 예정) 서비스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빅데이터 AI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미래가격, 투자점수, 거주점수, 대장단지, 지역별 미래전망, 불장지역, 청약, 나만의 아파트 찾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부동산 리치고 어플을 체험해보세요 ~
그냥 실거주 1채는 능력되는 한에서 사면될듯 + 주식하며 깨달은건데 매수매도 타이밍은 그 누구도 알수없다. 마이클버리도 하락에 배팅하고 몇년정도 지나서야 서브프라임 터지며 돈 벌었고.. 즉 시장 타이밍은 아무도 못맞춘다는거.. 데이터분석하는 능력, 자기확신 능력이 있어도 힘든건데 일반 개인이 확신하기가 힘들다. 그러니 입지보고 장기투자(실거주) 하시라
이분 욕하는 사람 많네요 본인 유튜브에서도 언급했지만 이분 과거 상승 예측하셨고 모두 맞아떨어졌습니다 SSID께서도 언급하시네요 단지 빅데이터를 분석하니 이제 변곡점이 보이는거고 그에따라 주장을 바꾸신 현신론자이심 그리고 이분 무조건 떨어진다는게 아니라 서울경기 아파트가 워험하다는거고 현재도 지방 몇곳 상승 여력있는곳도 찍어주시기도 합니다 의견을 수렴하던 않하던 본인 선택이지만 한쪽귀막고 무조건 아니라고 빼애액 할꺼면 생각좀 하고 하세요
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김기원입니다. 제 말이 다 맞다고는 하지 않겠습니다:) 저는 단지 세상에 신뢰도가 조금 떨어지는 소문과 예측보다는 데이터에 근거하면 "위험"한 투자나 결정을 조금은 줄일 수 있지 않을까?에서 데이터 분석을 시작했고 영상을 보시는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을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더 많은 제 이야기를 듣고 싶으시다면 제 블로그나 리치톡톡의 youtube에 방문해 주세요!
인과관계가 아닌 상관관계로 나온 결론 같습니다. 연도별 공급량(멸실수), LTV, 금리, 시장 전세물량이 동일하지 않은데, 어떻게 14~15년과 20~21년을 동일기준으로 볼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주택이 전면 허용된 상태라면 탐욕이 맞겠죠. 지금은 내일은 더 오를까봐, 월세 들어가야 할까봐, 살 수가 없을까봐 사는 시장 아닌가요?
규제를 풀고 시장에 맡겨야 버블이 터지는데..이걸 규제로 막아 놓으니 이젠 LTV 풀어도 15억 이상 아파트들이 치고 나가면서 9억 이하 갭 메움. 버블이 미친듯 올라가고 터지게 해줘야 되는데..규제가 오히려 버블이 터지는걸 막고 있음 ㅎㅎ 참고로 돈 없을수록 일찍사여.. 앞으로 인플레로...님들 월급이 3프로 오르면 10억 짜리 아팟 3프로 오르면..3천만원이 올라요..1년모아 3천만원 모을수 있어요? ㅋㅋ3프로가 같은 3프로 아님..
뭔가 전제가 잘못된듯. 전세금 인상폭은 법으로 규제하고 있고, 아파트가격은 시장원리로 올라가니까 벌어지는거겠죠. 소득,구매력도 이제는 우리나라만 생각하면 안되요. 중국부자들이 서울 아파트 뭉텅이로 산다는 뉴스 못봤나요? 이제는 부동산도 글로벌시대라서 외국인들도 우리나라 부동산 매입많이 합니다.한때 제주도 폭등도 그 영향이 있었죠
저는 주택임대사업자이자 투자자인데 공감이 되네요. 작년초부터 서울보다는 그동안 상승하지 않았던 지역들이 서울과 키맞추는 장세라고 생각되며, 서울에 무리하게 내 집 마련하는 것은 생각해 볼 때라고 여겨지네요. 올초부터 광역시가 아닌 지방 도시 지역들이 상승세로 전환한 것같아 지방 도시에 내 집 마련은 괜찮은 선택이 아닐까 하네요.
이 정권들어서 특히 지난 2년간 참다못한 실수요자들이 집장만에 대거나섰음. 투기꾼들은 적당한 선에서 팔고나오지만 영끌한 실수요자들은 절대 매수가 이하로 팔리가 없음. 언급한 20프로~40프로 집값하락은 엄청난 경제위기때만 보이던 폭락인데 그마저 2~3년후 다시 우상향 날라감.
인플레이션 1번 자산, 주식, 부동산 그다음 2번 원자재, 3번 원자재로 상승으로 인한 물가상승 그다음 인건비상승 한번 오른 인건비는 떨어지지 않죠. 아직 시작도 않했습나다. 화폐는 점점 쓰레기 될거에요. 무주택 분들은 이런 말에 현혹되지 말고, 내집 마련 하셔야 해요.
ltv40퍼 제한에 60퍼 본인 현금으로 서울 부동산 매수가 가능하면 10년 이상 보고 매수해야하고 그렇지 않다면 지금 서울시장은 사지 말고 저평가구간인곳(지방)에서 불리고 나중에 반등하는 수도권으로 오라는 얘기입니다. 추세를 보고 움직이니까 약간씩 정확한 타이밍은 다르지만 저분은 방향이 거의 정확한거죠. 투자는 저렇게 근거가 확실한 상태에서 해야합니다.
나도 23년~25년이 본격하락기라 생각하고 낙폭은 기존 폭락장보다 클것으로 예상한다. 실제 전지역 실거래가 대폭줄었다. 근데 싸울필요가 없는게 저점에서 사서 고점에 파는게 상식인데 현재 역대 최고점에서 조금더 오른다는가정하에 사는것은 하수중에 하수라 생각이 들고 좀더 오른다해도 팔기가 너무 어려울것같다.
20:12 최근 한은에서 체납없고 상환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많아 가계부채 및 금리인상 우려할 상황 아니라고 하지 않았나요? 그리고 저평가 구간인줄 알고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주식도 차트는 후평가에 사용하는거지 그걸 맞추고 사면 신이죠. 구매 및 상환 능력 있으면 실거주는 그냥 지금이라도 사는 것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내 생각에는 미분양 통계가 가장 중요한 자료인데 가볍게 설명하고 넘어가네요. 과거 상승장에는 미분양이 증가하기 시작해서 수년간사람들이 질릴 때까지 공급하고 나서야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지금은 미분양은 커녕 청약경쟁률만 고공행진중..... 공급이 너무 적은 게 과거와 가장 다른 점인데 어찌될 지 두고 보죠뭐.
1.전세대비 저평가 인덱스:임대차법 때문에 5% 인상율 제한(짱구 소리 하나도 안 맞음) 상황에 안 맞는 데이터 2.소득대비 가격(PIR):이건 인플레 때문에 부동산이 급격히 오른 모수가 빠르기 때문에 소득이 저평가(짱구 소리 하나도 안맞음) 3.물가대비 저평가 인덱스:이건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물가 초기 안올랐는데..이제 막 오르기 시작 원자재..가격 급등(참 짱구소리 계속 통계 기간의 문제) 4.주택 구매력 지수: 이건 정부가 대출 LTV등 투기지역 묶어서 대출 받을 수 없는데 무슨 소리?? 5.지역에 사라고? 무슨 짱구소리 똘똘한 한채가 대세인데 세금 때문에 역쉬 전부 지방 소도시 이야기하네.(그냥 1억미만 사라고하면 이해간다 이건 머 밑도 끝도 없네) 6.GDP대비: 이건 최근 인플레 때문에 현금가치 하락 당연히 전세계 GDP는 낮아지고 부동산 올라 가는데 안 맞지(계속 짱구 소리하네) 7.국민 순자산대비 아파트 시총: 이건 머 대한민국 예전부터 문제 부동산에 자산규모가 많은 건 사실(근데 이것도 다주택자가 다수의 자산이 많음. 아직도 무주택자 비율이 높음) 8.금리 인상: 이것도 최근 4년 LTV DSR 등 대출 30%, 40%라서 실제로는 안 맞음 이건 예전 70% 80% 대출 받았으면 문제 대겠지만..가계부채 이야기 하는데(한국은행 국민 가계대출 안정화 기준 참고) 9.서울 공급물량: 3기 신도시 입주 물량 24년 25년 입주?? 진정?? 절대 안된다 최소 28년 되어도 될까 말까인데!!!(계속 짱구 소리하네) 10.주식시장?? 그런데 2020년 1,200때 떨어 졌는데?? 왜 부동산 오르지??(밑도 끝고 없는 짱구 소리) 코인?? 아 노답이네... 11.전세 수급:임대3법으로 묶여 있다가 반전세로 전환 된다...참 무슨 소리 하는지!! 12.미분양:전국에 청약 수요가 폭팔하고 있는데 머 이건 좋은 신호다..(전국적으로 재건축 막음 국토부에서)인정 13.전세가율: 임대3법으로 5%이하로 연장...(알고 그러는지 모르고 그러는지 참 짱구소리 하네) 14.이건 당연한 말 인구가 줄면 결국 외곽부터 떨어진다..그러니 똘똘한 한채 호흥 15.딱 봐도 대세 하락론자 무주택자들이 듣고 싶은 힐링부동산 방송이네 ㅋㅋ 이런 사람들 뒤로는 호박씨까는 스탈.. 끝까지 들어 봤는데 짱구 소리...
김기원님은 이미 2019년을 고점으로 보고 서울 자산들을 정리했는데, 수익에 가장 중요학 급등기는 그 후에 시작 됨. 고점인건 맞지만 대부분 2023까지는 더 오를껄로 예상함. 김기원님 말대로 경제적 요인만 보면 떨어져야하지만, 정부의 정책이 집값을 오르게 만들수밖에 없음(대표적으로 양도세 중과로 공급을 제한하기때문에)
결론 : 서울 아파트들을 팔아서 손해본 김기원님의... 떨어지길 간절히 바라는 메아리 ('2019년부터 서울 아파트 고점이니 지금 꼭 팔아라' 라고 주장했겠지요.. 또르르...)
수도권 집사지 말라고 2년 전부터 얘기하는데.. 내가 이 사람 얘기 믿고 작년 1월에 집 안샀으면 정말 고통스러웠을듯. 지금도 무주택자 듣기 좋은 소리만 하고 있네요. 고장난 시계도 2번은 맞으니까 계속 폭락을 주장하다보면 언젠가는 맞겠죠. 참고로 전 이사람 강의도 들었습니다. 무주택에서 수도권 1주택 구입한다고 한다고 했을때도 고평가라고 사지 말라고 했는데 전 아니다 싶어서 매입했고 지금 실거래로 7억 올랐네요. 지금은 너무 올라서 집을 사라고 얘기는 못하지만 판단은 공부하고 본인이 하시길.
지금이 상승구간의 거의 꼭지점에 가깝다고 생각은 한다 그러나 지금의 왜곡된 시장은 코로나로인한 인플레이션 하나로만 이루어진것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 실패로 이루어졌기에 정부의 정책이 변화하지 않는한 소폭하향 또는 지금의 현 시세가 공급 물량이 나오기 전까지는 변화가 쉽지 않을거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재테크 공부하고 있는 재린이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몇 자 적습니다. 아파트 가격 거품이 최대치에 형성되면 아파트 소유주들한테 무조건적으로 호재라고 말할 수 있나요? 정작 수요자들은 거품이 꺼질때까지 다른 방법(월세 등)으로 거주하려고 하기 때문에, 아파트 소유주 (특히 투기목적 아파트 소유주)들은 거품낀 가격에 팔지 못하니깐요. 제 생각에 대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임대차법으로 집 없어도 전세로도 충분히 거주가능해진 것 같아요..저도 최근까지 경기도아팟 자가거주하긴 했지만.. 임대차보호법 개정으로 애들 학교보내는 동안 이사 2~3번만 다니면 되고..전세 가격이 올라도 전세만 선호하는 분들도 계시고요.. 상승여력 적은 곳은 팔때 매도인이 을..
@요못남-h6c 431
2021년 5월 15일 14:09집을 안사는게 아니고 이제
사고싶어도 못사는게 문제지
bright Human 383
2021년 5월 14일 14:51집있는 사람 : 헛소리하네 ㅋㅋ 아직 고점 아니야 더올라
집없는 사람 : 맞아 지금 왜 사냐? ㅋㅋ 평생갈거같냐
@송추댁 351
2021년 5월 14일 12:31사실 경제학적으로 보면 여기있는 사람들 말 다 맞는 말임
상승론 하락론 다 맞는 말
내가 어디에 배팅하느냐는거지
싸울필요없음
근데 상승론에 배팅할 돈이 없다는거
그래서 난 하락론에 있는 중ㅋㅋㅋㅋㅋㅋㅋ
리치고 336
2021년 5월 13일 15:07데이터노우즈 (데이터는 답을 알고 있다) 대표 김기원입니다.
제 동영상이 아무쪼록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서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리치고(부동산부터 주식까지. 주식 리치고는 6월 오픈 예정) 서비스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빅데이터 AI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미래가격, 투자점수, 거주점수, 대장단지, 지역별 미래전망, 불장지역, 청약, 나만의 아파트 찾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부동산 리치고 어플을 체험해보세요 ~
★리치고 어플 다운로드 받으세요
★김기원 저자 : 빅데이터 부동산 투자 2021 대전망 (21년 2월 출간)
Injoo Kim 312
2021년 5월 12일 20:41못사는거였는데 감사합니다
@leehan-p7k 237
2021년 5월 15일 14:13안사는게아닙니다...못사는겁니다
@jhlee7964 222
2021년 5월 13일 17:081~2년간 상승후 3~4년뒤 하락장이 왔을때 과연 오늘가격보다 저렴한 가격일까요??
@christinep1722 221
2021년 5월 12일 22:30한가지 분명한건.. 투자 목적이 아니고 실거주 목적이라면 앞뒤 재지말고 살형편이 됐을때가 매수시기가 아닐까 싶네.. 긴인생 살면서 직간접으로 터득한 논리임
@폴리곤-u5d 205
2021년 5월 12일 18:16하지만 인서울 역세권 대단지 실거주는 언제나 옳다.
@bjp9478 185
2021년 5월 15일 20:58데이터는 거짓말하지않치만 해석은 사람이 하기때문에 오류가 발생됨
@도리바람-r3d 157
2021년 5월 15일 00:03하루 밥 벌어 먹고 살기도 힘들어 죽갓는디.. 이런거 저런거 다 떠나서, 그냥 맘과 몸 편히 뉘일 곳 하나 마련하고 싶다.
@theSimple9 150
2021년 5월 13일 16:22올라갈때는 떨어질까 무서워 못사고, 내려갈때는 더 떨어질까 무서워 못사고. 안 움직일 때는 관심이 없어지고.
투자는 어렵습니다. ㅎ
아로마가이 128
2021년 5월 12일 19:53아포유랑 토론하실분이네 ㅎㅎ 단단히 준비하고 오셔야할듯 ㅎㅎ
100억전당포 112
2021년 5월 12일 18:38그냥 기회되면 사서 눌러살면 오르더라
김기래 103
2021년 5월 12일 22:14길게 버텨야 한다. 업다운이든 계단식이든 결국엔 롱텀 우상향이 그래프 팩트..
돈까쓱 91
2021년 5월 15일 14:30실거주 1채는 하락하면 그런가보다 엉덩이깔고 살면 화폐가치하락으로 언젠간 다시 현재보다는 비싸질텐데, 상승하면 진짜 무주택자 입장에선 생존에 답이 없다
DAEGEON SHIN 87
2021년 5월 14일 01:51신사임당 웃참대회
@timo1115 84
2021년 5월 15일 21:57요즘 유명 연예인들 건물 매도 기사 많이 나오던데... 최고점에서 수익실현하는거네 ~~
@빼꼬밍-i4y 78
2021년 5월 13일 15:34누구나 알고있는 리스크는 리스크가 아니고 누구나 알고 있는 거품은 거품이 아님. 모르고 있다가 확 꺼져봐야 거품이었구나 하는거지.
미피 78
2021년 5월 12일 21:17어려운 얘긴데 그래도 데이터기반으로 용기있게 말씀해주셔서 고맙습니다. 한사람이라도 도울려는 마음.
랑이호 77
2021년 5월 13일 05:17너나위님과 같이 이야기하는거 보고싶어요 ㅋㅋㅋㅋ
sia T 63
2021년 5월 12일 23:58말씀 중 고평가 추세여도 일자리와 인구 유입이 늘어나는 곳은 추천할 만하다. 당연한 말씀이지만 공감가네요.
@650step8 62
2021년 5월 12일 19:28이 분은 폭락론자는 아닌게 2018년 출간한 빅데이터 부동산 책에는 서울, 대전, 경기도 등 저평가라고 사라고 했어요.
@마일-z9m 61
2021년 5월 15일 09:22이번장은 코로나시대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전 세계가 엄청난 화폐를 찍어 냈기 때문에 예전과는 좀 다를겁니다. ^^
@soomoktube 60
2021년 5월 13일 02:00마이크를 안찼는데도 잘 들렸네요. 목소리가 워낙 크고 딕션도 좋으셔서 ㅋㅋㅋㅋㅋㅋㅋㅋ
@hyunsulee4647 58
2021년 5월 12일 21:16모든 자산은 등락을 거듭하며 우상향함. 실거주로 본다면 지금 가격이올라서 비싸겠지만 길게보면 자산은 오르기 때문에 다시 회복될수 있지 않을까
@루프리텔캄-h1q 57
2021년 5월 18일 17:45지금은 안사는게 아니라 사고싶어도 못사는거임.
올라도 너무 올랐고 대출도 다 막히고
무주택자는 암울하기만 하다 진짜...
@onberz839 55
2021년 5월 13일 01:44그냥 실거주 1채는 능력되는 한에서 사면될듯
+ 주식하며 깨달은건데 매수매도 타이밍은 그 누구도 알수없다.
마이클버리도 하락에 배팅하고 몇년정도 지나서야 서브프라임 터지며 돈 벌었고.. 즉 시장 타이밍은 아무도 못맞춘다는거.. 데이터분석하는 능력, 자기확신 능력이 있어도 힘든건데 일반 개인이 확신하기가 힘들다.
그러니 입지보고 장기투자(실거주) 하시라
@koongkoongl 54
2021년 6월 04일 04:34이분 욕하는 사람 많네요
본인 유튜브에서도 언급했지만 이분 과거 상승 예측하셨고 모두 맞아떨어졌습니다
SSID께서도 언급하시네요
단지 빅데이터를 분석하니 이제 변곡점이 보이는거고 그에따라 주장을 바꾸신 현신론자이심
그리고 이분 무조건 떨어진다는게 아니라 서울경기 아파트가 워험하다는거고 현재도 지방 몇곳 상승 여력있는곳도 찍어주시기도 합니다 의견을 수렴하던 않하던 본인 선택이지만 한쪽귀막고 무조건 아니라고 빼애액 할꺼면 생각좀 하고 하세요
Min Kim 47
2021년 5월 12일 21:05부동산은 내릴때 잘 버티면 큰 수익으로 옵니다 제 경험이에요 이런 이야기 큰 의미 없어요 버틸 힘 있는지 확인 하시고 가능하시면 사세요 인플레도 조금 있어서 분명히 그냥 돈 가지고 있는거보다 나아요
@오순영-b6q 46
2021년 5월 14일 18:55지나고 나니
고평가인지 저평가 인지 판단할 수 있는것이지
현재 시점에서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리치고 46
2021년 5월 12일 20:01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김기원입니다.
제 말이 다 맞다고는 하지 않겠습니다:)
저는 단지 세상에 신뢰도가 조금 떨어지는 소문과 예측보다는
데이터에 근거하면 "위험"한 투자나 결정을 조금은
줄일 수 있지 않을까?에서 데이터 분석을 시작했고
영상을 보시는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을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더 많은 제 이야기를 듣고 싶으시다면
제 블로그나 리치톡톡의 youtube에 방문해 주세요!
@freedombelief7963 45
2021년 5월 13일 02:06인플레이션이 온다. 어차피 원래 온다. 부동산도 그에 맞춰 오른다. 20년 전과 비교해서 그 값으로 떨어진 적이 있나
Wg 43
2021년 5월 12일 18:31거품이라는 말은 나중에 실제로 떨어져야 거품인거지 안떨어지면 그건 거품이 아니라 가치가 되는듯....
백병일 43
2021년 5월 13일 15:27더원 같이 생겼어요
@이규홍-r8b 42
2021년 5월 12일 20:43이 분 상승론자분이셨는데 이젠 하락론자가 되셨네요 25일 아포유 두 분이서 토론 기대하겠습니다
Ss sg 42
2021년 5월 12일 22:29이미 고점 찍었다는 엘리엇파동 아저씨도 초대해주세요~~
@inkukkim9820 40
2021년 5월 12일 18:39인과관계가 아닌 상관관계로 나온 결론 같습니다. 연도별 공급량(멸실수), LTV, 금리, 시장 전세물량이 동일하지 않은데, 어떻게 14~15년과 20~21년을 동일기준으로 볼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주택이 전면 허용된 상태라면 탐욕이 맞겠죠. 지금은 내일은 더 오를까봐, 월세 들어가야 할까봐, 살 수가 없을까봐 사는 시장 아닌가요?
District 9 40
2021년 5월 12일 18:51금리인상... 거격부담 더욱 심화...지금이 하락의 서막
kirim sin 40
2021년 5월 13일 02:57역사상 거품이 끼어있지만, 내가 안사면 또 오릅니다.
김대웅 38
2021년 5월 15일 17:38원자재값 상승중
@브라운리 36
2021년 5월 13일 17:217월부터 dsr 40프로????
이제 부자들만의 파티임.
부자들응 대출 안나오면 그냥 갭투자 하고 다른데 월세 살면 됨. 피보는건 돈 없는 실수요자들뿐.
@KIM-zz 35
2021년 5월 21일 19:04저도 연봉 작은 편은 아닌데,,집을 살려고 해도 숨이 막힙니다, 과연 이런 가격들은 누구들 보고 사라는건지
JW Shin 35
2021년 5월 13일 22:29저평가 됐을때 사라니 ㅋㅋㅋㅋ 토론 기대하겠습니다.
소다수 34
2021년 5월 12일 18:48맞는거 같아요 ㅋ 데이터는 팩트임
성공이야기SOS 33
2021년 5월 12일 20:02참고만 하시고 결정은 본인의 몫!
@almond6354 32
2021년 5월 12일 19:47테슬라도 비트코인도 거품이라고 쌩 난리였습니다. 그런데 서울 아파트가?? 실거주면 최대한 빨리 사서 그냥 깔고앉아 살면되요
New Type 32
2021년 5월 14일 09:18데이터 기반한 사실을 전달 드리는 내용이라고 말하는데도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심지어 아니면 어쩔래? 식에 협박에 가까운 댓글러들 인성이란...
장동현 32
2021년 5월 12일 18:38전세 재계약은 상한 5프로 제한 걸려 있는데 계약 갱신 청구건은 제외하고 봐야 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송하라하 31
2021년 5월 25일 17:33아~~ 코로나 폭락장에서 주식 절대 사지말라던 그분?? ㅋㅋㅋ
Jacob 30
2021년 5월 12일 23:45서울아파트값은 우상향합니다. 판단은 본인몫.
@손센 30
2021년 5월 17일 01:01원래 기존사이클대로라면 저사람 말도 일리가 있는데,, 요즘은 코로나같은 특수한 상황에 각국에서 돈을푸는 양적완화로 인한 유동성 급증과 그로인한 초인플레이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상황에.. 기존 부동산 사이클이 없어졌다고 생각함..
Yeoshik Yoon 28
2021년 5월 12일 20:10큰그림은 공감합니다만 계속해서 이야기하시는 앞으로 일이년은 모르겠지만이 걸리네요^^ 잘봤습니다.
where h 27
2021년 5월 14일 05:37투기꾼들 안팔리니 어떻게든 팔아보려고 난리났네ㅋㅋㅋㅋㅋㅋ
@wamk1063 27
2021년 5월 13일 07:335:47 그래프 분석했을때 존버가 답이란 해석이 되네요.
2009년도 고평가로 나오는데 그때 수도권 사서 지금까지 보유한 사람 중 손해본 사람은 없다고 봅니다.
@khl0513 26
2021년 5월 12일 20:09고평가와 저평가로 판단을 하는건 논리적이네요 근데 전체구간을 잘보면 집가격은 보합이거나 상승은 있어도 눈에띄는 하락은없네요
PAISON 25
2021년 5월 13일 10:44실거주 1채는 주거안정을 위해서 언제나 좋죠..
하지만
오를대로 오른 지금 시기에
큰 대출을 일으켜 아파트를 구매하기엔 너무
리스크가 큰거같아요
(가격거품 + 다가올 금리인상)
@피카수니 23
2021년 5월 12일 18:55앞날은 모르는건데 ..사지말라는 말도 위험하네요 청약할사람 하고 능력되면 덜오른거 사야하죠~ 나중에 거품 걷힌 가격이 지금보다 높으면 우짜나요?
@helicopterattack412 23
2021년 5월 15일 09:39집이 설령 너무 비싸서 못사고 전세를 들어간다 할지라도 인플레이션에 대비를 늘 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자산이 없어 벼락 거지 되고 느낍니다...
@davidshin2619 23
2021년 5월 12일 19:26규제를 풀고 시장에 맡겨야 버블이 터지는데..이걸 규제로 막아 놓으니 이젠 LTV 풀어도 15억 이상 아파트들이 치고 나가면서 9억 이하 갭 메움. 버블이 미친듯 올라가고 터지게 해줘야 되는데..규제가 오히려 버블이 터지는걸 막고 있음 ㅎㅎ 참고로 돈 없을수록 일찍사여.. 앞으로 인플레로...님들 월급이 3프로 오르면 10억 짜리 아팟 3프로 오르면..3천만원이 올라요..1년모아 3천만원 모을수 있어요? ㅋㅋ3프로가 같은 3프로 아님..
@vipa1004 23
2021년 5월 16일 15:11서울 아파트 평균 11억이라던데 사고 싶어도 못 사죠...
TH kim 23
2021년 5월 12일 22:51문제는 결국에는 우상향 하는게 부동산인데, 그 우상향 속도만큼 내가 돈을 모으고 불릴 수 있냐는 거지..
좋다 22
2021년 5월 14일 15:39영원한건 없듯이~~
수년간 가파르게 너무 올랐으니까
당연히 또 떨어지는 때가 올겁니다
beanz Move 22
2021년 5월 12일 18:33고평가 구간인데... 고평가가 얼마나 갈지는 모르는거네요
@이승준-o4u4b 21
2021년 5월 12일 18:53뭔가 전제가 잘못된듯.
전세금 인상폭은 법으로 규제하고 있고, 아파트가격은 시장원리로 올라가니까 벌어지는거겠죠.
소득,구매력도 이제는 우리나라만 생각하면 안되요.
중국부자들이 서울 아파트 뭉텅이로 산다는 뉴스 못봤나요?
이제는 부동산도 글로벌시대라서 외국인들도 우리나라 부동산 매입많이 합니다.한때 제주도 폭등도 그 영향이 있었죠
파워맥스 21
2021년 5월 12일 21:23미래분석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셨나
@songhyunnam1451 20
2021년 5월 12일 20:20그런데 1~2년간 3억 오르고 그 이후에 2억 떨어지면 지금 사는게 나은거 아닌가...싶네요. 집값이 거품이라기보단 채소들이 집값따라 오르는거 같은데...물가상승.
카이로스 생산자 셀아빠 Sel Daddy 20
2021년 5월 13일 09:58저는 5년 전에 구빌라 구매 해서 지금 9천 이상 시세 차익 남고 팔긴 하는데 중요한 점은 주변 시세도 더 비싸져서 다른 부동산 사려면 대출 더 많이 받아야 하네요
일단 전세로 이동하려 합니다
@min9park 20
2021년 5월 14일 05:42항상 지나고 나면 왜 그때 안샀을까 라는 경우가 더 많은듯 하네요
@센치 19
2021년 5월 14일 10:20난 10년이고 20년이고 살집이 하나 잇어야겠다 싶은데 전세살다가 살수 있던 집도 못살정도로 올라버림. 가격이 오르건 말건 폭락하건 살집이 필요하니 걍 사야함
인생역전 19
2021년 5월 13일 20:07ㅋㅋ한달전까지 빨리팔라던
사람이 지금은 1-2년은 더간단다.
자기나온 유톱은 안보나보내.
@당산용산 18
2021년 5월 12일 23:28댓글창 보면 확실히 위험구간에 진입한 건 맞는 것 같네요 그게 떨어질 거냐라는 거랑은 다른 얘기지만요 그래도 말씀하신 내용이나 사용한 지표 데이터들이 참고할만합니다 감사합니다
일산아저씨 18
2021년 5월 16일 00:21저는 주택임대사업자이자 투자자인데 공감이 되네요. 작년초부터 서울보다는 그동안 상승하지 않았던 지역들이 서울과 키맞추는 장세라고 생각되며, 서울에 무리하게 내 집 마련하는 것은 생각해 볼 때라고 여겨지네요. 올초부터 광역시가 아닌 지방 도시 지역들이 상승세로 전환한 것같아 지방 도시에 내 집 마련은 괜찮은 선택이 아닐까 하네요.
럴쑤 18
2021년 5월 23일 01:42폭탄돌리기에서 하나둘 도망가기 시작하면 한방에 무너지진 않더라.
꾸역꾸역 두세번 버티다가 왕창 무너진다.
김석 17
2021년 5월 12일 19:15서울에서 주택을 구입하는 것은 지금은 아직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감사합니다
가자스카이 17
2021년 5월 14일 07:59아..진짜 믿고싶다요
배짱개미 17
2021년 5월 13일 23:15데이터가 그렇게 말하고있다며 책임전가 할 구멍은 만들어놓고있네요... 버블은 맞자나 근데 어디까지 버블이 커질진 난 몰라. 어쨋든 버블은 꺼진다규!!
Sun Eng 17
2021년 5월 13일 13:09인플레이션은 모든 자산이나 재화에 중립적으로 일괄반영이 안되는거 경제학 유명한 기본상식인데.. 물가하고 부동산을 비교해서 거품이다 아니다를 판단하는 지표로 될수있나 좀 의구심이 듭니다
@찐자리치 17
2021년 5월 12일 19:08나도 분명한 사실을 말한다 화폐는 결국 숫자다 돈은 찍어내면 끝 결국 자유시장경제가 계속 유지되는 한 인플레는 발생 할수밖에 없다
@박미숙-o5o 16
2021년 5월 12일 21:45영끌, 대출로 구입하는 아파트는 사상누각의 위험을 안은 불나방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장기적 집값은 우상향이 맞지만 구입 타이밍이 중요한 만큼 꼭 새겨들을만한 영상이네요
HJ K 16
2021년 5월 18일 16:56그래도 무주택자는 산다에
한표요~~~
hannah DS 16
2021년 5월 12일 18:55ㅋㅋㅋㅋㅋ마이크 안차고했네 동공지진 웃겨얌
오늘오늘 뭐 먹지? 15
2021년 5월 15일 19:41아... 더원 닮았으셨는듯
잘봤습니다.
M 5 15
2021년 5월 19일 14:311~2년전부터도 데이터로는 거품이었음...
생존투자 윤수목 15
2021년 5월 13일 01:53많은 분들이 귀기울여 들어야할 말씀들이네요. 특히, 증시와 부동산이 연계되어 움직일 가능성에 대해 공감합니다.
채민기 14
2021년 5월 12일 20:45고평가도 데이터로 충분히 이해가 되네요 근데 화폐나 다른 자산을 가지고 있는 것 보다는 오히려 급락한적이 없는 주택으로 몰빵해야한다는 판단이 드는 데이터 였습니다.
@Happyvirus16 13
2021년 5월 13일 14:38서울 주거환경이 홍콩 따라갈거라고
보든데
그렇게보면 앞으로 더 올라갈 여지가
잇다고 보든데
무서운 미래 아닌가
YS Choi 13
2021년 5월 14일 20:15서울을 팔아서 지방에 샀다? 부동산이 흔들리면 지방이 제일 위험한건 상식아닌가요?
jeff 13
2021년 5월 12일 21:35이 정권들어서 특히 지난 2년간 참다못한 실수요자들이 집장만에 대거나섰음. 투기꾼들은 적당한 선에서 팔고나오지만 영끌한 실수요자들은 절대 매수가 이하로 팔리가 없음. 언급한 20프로~40프로 집값하락은 엄청난 경제위기때만 보이던 폭락인데 그마저 2~3년후 다시 우상향 날라감.
GGS 영업부 김부장 13
2021년 5월 12일 19:27스앵님 모르게쒀요.. 무주택이라 사야될거 같아요🥲
Wue Eyvynujuqw 13
2021년 5월 15일 08:44데이터는 정책을 이길수없다 ㅋㅋ
데이터는 날씨만 믿는걸로
yeong won choi 13
2021년 5월 21일 19:21왠지 나쁜쪽으로 나중에 레전드 영상이 될 것 같다 ㅋㅋㅋ
Cyr 12
2021년 5월 12일 18:3711:52 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호빵이 꿀꿀이와 동물친구들 12
2021년 5월 12일 19:27쥰나 더 오르려나보다...
@etalways8748 12
2021년 5월 26일 17:53여러분들의 소중한 시간을 지켜드립니다.
2:38~2:45 요 부분만 보시면 되요...ㅋㅋㅋ...이상 송신 끝
박경훈 11
2021년 5월 13일 00:03전세가율은 임대차3법 때문에 왜곡도 있고 물가 상승률은 올해 엄청나게 오를거 같네요. 저는 저렴한 가격은 아니지만 상승 여력은 더 많아보이네요. 물론 가격좀 빠지면 좋겠네요.
a 99 11
2021년 5월 13일 13:36저도 4년전에 8억3천인가 주고산집이 현재19억인데 집값이 조만간조금 내려갈순있겠지만 어차피 내집만 내려가는것도 아니고. 다내려가는데 크게상관없을것같고 향후 10년뒤 20년뒤를 볼때 현재보다 내려갈확률보단 올라갈확률이 높을것같다.이분말처럼 현재거품이심하니 집사지말란건 투기용으로는 맞을것같고 내집하나는 갖고있어야지 이런마인드면 사는게 맞는것같다.올라가든 내려가든 어쨌든 서울기준 같이변동하기에..저처럼 시세차익보고 팔고 지방내려갈거 아니면 크게상관없을듯..
자연에산다 11
2021년 5월 12일 21:44매우 현실적이고 치밀한 자료와 분석
@hjk1498 11
2021년 5월 13일 17:039분50초 고평가 저평가는 공급과 관련된 것인데 어짜피 물가는 계속 우상향이고 속도의차이일뿐 집값도 계속 우상향 할겁니다.
hooje LEE 11
2021년 5월 14일 19:05왜 웃기지~ㅋㅋ
My슬기로운생활 10
2021년 5월 15일 00:31인플레이션 1번 자산, 주식, 부동산 그다음 2번 원자재, 3번 원자재로 상승으로 인한 물가상승 그다음 인건비상승 한번 오른 인건비는 떨어지지 않죠. 아직 시작도 않했습나다. 화폐는 점점 쓰레기 될거에요. 무주택 분들은 이런 말에 현혹되지 말고, 내집 마련 하셔야 해요.
SH Jun 10
2021년 5월 15일 14:09실물경기랑 이격도는 반드시 좁혀집니다 문제는 어떻게든 가진 사람들은 비싼값에 자신들 물건을 넘기기 위해, 분위기를 만드니까 이 시장이 유지되고 있는거겠죠...
@hmhm20 10
2021년 5월 12일 19:42전세가인덱스로 비교하는게 위험한건 지금은 실수요가 몰려 전세가격이 올라가는게 아니라 임사규제 및 신축실거주요건등 물량이 없어 전세가가 오르니 전제 자체가 틀릴수도 있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양양영란 10
2021년 5월 14일 10:50수도귄이 아닌 지역도 알려주세요
부산의 경우 알고싶습니다
Ask and go to the blue Iron Dragon 10
2021년 5월 12일 18:58사고 싶어도 돈이 없어서 못삼 ㅠ
@샤샤-u9b 9
2021년 5월 22일 19:56마이크 안찼는지 모를 정도로 정확하게 귀에 쏙쏙 들어 왔습니다
Channel V 8
2021년 5월 12일 19:21이런 분들이 많아지면 전 감사합니다 ^^
관백 8
2021년 5월 15일 04:13와우~ 이걸 데이터화? 그 어렵다는 걸 해버리신 분이다! ㄷㄷㄷ
모하메드압둘라 8
2021년 5월 13일 12:36훠훠훠 19년에 수도권 팔고 지방으로 바꿨다에서 거르면 되나요? ㅋㅋㅋ
여유시간 8
2021년 5월 12일 19:45데이터 자료 보여주시면서 설명해주시니 이해가 쏙쏙 됐어요!
지금은 미래를 위해 공부해 놓을 때인가 보네요.
daisy icarus 8
2021년 5월 12일 18:33그럼 언제 사는게 맞나요?
CKER 8
2021년 5월 13일 11:3032:04 사상 최대의 [ ] 뭔가요? 음성만 짤렸네요 ㅋㅋ
소영데스 Soyoungdesu 8
2021년 5월 15일 12:44이런 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다니 정말 감사하네요
김민수 8
2021년 5월 13일 17:32ltv40퍼 제한에 60퍼 본인 현금으로 서울 부동산 매수가 가능하면 10년 이상 보고 매수해야하고 그렇지 않다면 지금 서울시장은 사지 말고 저평가구간인곳(지방)에서 불리고 나중에 반등하는 수도권으로 오라는 얘기입니다. 추세를 보고 움직이니까 약간씩 정확한 타이밍은 다르지만 저분은 방향이 거의 정확한거죠. 투자는 저렇게 근거가 확실한 상태에서 해야합니다.
나를 찾아줘_Find me_ 8
2021년 6월 27일 10:40주택담보대출제한으로 완공시점에 대출이 더많이 나올수있도록 주변시세를 올려놓고 감정평가를 받아야되기 때문에 집 값은 떨어질수가 없습니다.
공토익장학생 7
2021년 5월 27일 09:57갈아타는건 상관없는거죠?
어차피 비싸게 팔고 비싸게 사는거니...
@mpsofficial9028 7
2021년 7월 07일 22:355:54 그렇게 박근혜때 헬조선이라고 코미디, 뉴스, 사람들이 떠들었는데 그때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집값이 낮았던 때네...
Paul_Jeon 7
2021년 6월 29일 19:45신사임당에서 제대로 된 이야기를 해주는 사람은 이 분밖에 없네
J리더-최고의 하루를 위한 이야기 7
2021년 5월 13일 09:21일단 제가 살 집이면....상황에 맞게 고민해보겠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_^
만찐두빵 7
2021년 6월 05일 22:524억에 집 사려고 했는데 10억으로 올라 있어서 포기 했습니다 아니 돈이 있어도 그 돈주고는 구입을 안할겁니다.
JH Ko 7
2021년 5월 14일 21:18앱팔라고 애쓰시네..
홍대영 7
2021년 5월 12일 19:16현재 가격이 비싸다 정도만 알면 될 듯
으악새 7
2021년 5월 14일 14:10맞아여 희한하게 입주물량이 많을때 가격이 오르더라구요 ㅠㅠㅠ
YunJe Yang 6
2021년 5월 12일 19:33재건축 규제 풀어주지 않는다면
지금처럼 비싼 가격 그대로 갈거라고 봅니드아 ㅠㅜ
@마이멜로디-v1x 6
2021년 5월 13일 22:44댓글보니 조만간 집값 떨어지겠네.
상식이 있으면 지금 집값이 정상이
아니라는 걸 알텐데 말이죠.
20대~30대 입장에서 월급쟁이들이
6~7억이 그냥 우습게 벌리는 금액일까요?
물가가 오른다고 하는데, 노동비용은
예전과 비교시 더 어려워졌습니다.
역사적으로 폭락직전 상황은 모든사람이
그 분야에 몰빵하는 현상이 보입니다.
오히려 생각 있는 극소수 사람들을
바보라고 놀리고 조롱했지만,
결국 폭락 후 그 소수만이 살아남았지요.
부는 공평하게 가지 않습니다.
미래를 보고 얼만큼 자기방어를
잘하는지 관건 아닐까요?
지금은 폭탄 돌리기 현상처럼 보이네요.
말이 20~30년이지 평생을 대출 빛
갚느라 고통 받느니 그리고 그렇게 가정
파탄이 일어나면
안그래도 적은 인구수 더 아이를
안 낳을려고 하겠지요.
결국 악순환 반복으로 인한
경제붕괴뿐입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지금 시기 부동산에 뛰어든 사람들은
불나방들이라고 봅니다.
돈에 홀려 자기들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
그리고 지금 투자 및 집 사라고 하는 사람들은
양심에 얻고 생각하시길..
사람 본성은 좋은건 몰래 먹을려고 하지.
같이 먹자 권하지 않습니다.
b에르메타주 6
2021년 5월 12일 20:27지금 현 부동산시세가 정상은 아닌듯~~여기서 무너지면 정말 끔찍하네요! 산이높으면 골도깊다는
K낭만 6
2021년 5월 14일 15:27부동산은 큰 싸이클리컬 상품 내릴 때 구매자가 대기했다가 한참 오르자 매수 대열에 가담해서 폭등했는데 20-30대까지 미리 댕겨 구매했으니 인제 하락하면 매수 실종이 오지 그렇게 또 10년
한민수 6
2021년 5월 19일 22:38나도 23년~25년이 본격하락기라 생각하고 낙폭은 기존 폭락장보다 클것으로 예상한다. 실제 전지역 실거래가 대폭줄었다. 근데 싸울필요가 없는게 저점에서 사서 고점에 파는게 상식인데 현재 역대 최고점에서 조금더 오른다는가정하에 사는것은 하수중에 하수라 생각이 들고 좀더 오른다해도 팔기가 너무 어려울것같다.
zow lee 6
2021년 5월 15일 05:45실거주면 고평가되어있어도
우째됐든 집값이 물과 상승률 따라 우상향이면
어째뜬 빨리사면 일이년 오르다가 삼사년 내리다가 다시오르다 하면서
몇십년 뒤에 결과로보면 내가 살 수 있을때 가장 최저가로 산게 되는거니깐
이득인거 아닌가...??
말이 좀 안맞는거같네요
꿀보리 6
2021년 5월 15일 10:23아주 객관적으로 참고할만 영상이었어요~~~~~good!!!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모두들 성투하세요~~~~~
Brian J. 6
2021년 5월 15일 08:17지난 4년 부동산 폭등장을 지내고.. 올해부턴 관심이 없어진건 맞다. 내년부턴 관심 자체가 더 떨어지긴 할듯. 어차피 길게보면 더 올라갈테니 돈 많은 사람은 지금이라도 사도돼고 돈 충분하지 않은 사람은 어차피 기차는 떠났다 그냥 인생은 그런것하고 포기하는게 정답임.
soo hwan Park 6
2021년 5월 17일 22:02외곽지역이 지금 많이 오른다면서 예를 든것도 잘못된게 그 지역들은 교통이 획기적으로 좋아지는 호재때문에 오른거지 외곽이라 오르면 이제 끝물이라고 판단하는건 혼자만의 생각인듯요
Jason Kim 6
2021년 5월 12일 19:28누가 알겠어요...
김재현 6
2021년 5월 12일 19:32데이터기반 분석 감사합니담
김민구 6
2021년 5월 16일 08:24서울 아파트 공급량 수치는 없네요
봄향기 6
2021년 5월 12일 23:30좋은 자료 잘 봤습니다 .고민되는 시기네요
노랑종이 5
2021년 5월 13일 10:09데이터가 말해주고 있고
시작도 했고 부스터 쏘는건 금리
ddd asdf 5
2021년 5월 12일 18:57주식시장이 어떤지 알 수 있는 지표가 따로 있을까요?
korus21c 5
2021년 5월 14일 06:24과학적인 설득력있는 분석
감사합니다
김디케이 5
2021년 5월 12일 20:02소득이 없어도 나라에서 돈을 똥으로 만들었는데 이거는 어쩌나요? 몇억은 그냥 💩
뽈살 5
2021년 6월 11일 23:36부종도 급찐급빠 못하면 그냥 살이 된다
굿네이버후드 5
2021년 6월 15일 21:10신사임당 채널 방향은 좋다
부읽남은 오른쪽만 보지만 사임당은 양쪽이 다 볼수있는 채널..
양쪽의 표를 받겠다는 거지...
사임당씨는 똑똑한 사람...
저냥반은 사임당이 지 가지고 노는 것도 모르고 떠들긴...
HOKIPOKI 5
2021년 5월 22일 00:52홍춘욱 반대 매매가 답이구나...
굿마마스_이코치 5
2021년 5월 17일 08:54신사임당님이 부동산에 눈이 벌건 대중들에게 환기를 시켜주셔서 감사하네요 부동산을 통해 이기주의의 끝을 보이는 정부와 아파트가지고 일확천금을 노리는 사람들 보기가 피로할 따름입니다.
s moon 4
2021년 5월 12일 19:15오늘이 제일 고평가
실수요자도 많아서 버티기 가능 하다생각됩니다
앞으로 최소 10년은 버틸수있을거 같은 느낌임
김알지 4
2021년 5월 26일 00:52저는 땅을 사고싶어서요.. 위기가온다면 경매공매등.. 대비해서 현금 만들고있습니다..
김준선 4
2021년 5월 14일 05:28충남충북 전북 강원마저오르면 수도권은 더오른다
그냥지금이제일쌀때
Sooji Ahn 4
2021년 5월 12일 22:4520:12 최근 한은에서 체납없고 상환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많아 가계부채 및 금리인상 우려할 상황 아니라고 하지 않았나요? 그리고 저평가 구간인줄 알고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주식도 차트는 후평가에 사용하는거지 그걸 맞추고 사면 신이죠. 구매 및 상환 능력 있으면 실거주는 그냥 지금이라도 사는 것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Polygraphy 4
2021년 5월 12일 20:55정리 : 청약은 예외 / 싯가로 서울 경기 일부지역 사는 건 고점에 물릴 가능성 높음 / 그러나 1주택이 없는 사람은 실거주 1주택 마련은 언제든 해야됨
이경희 4
2021년 5월 27일 13:31공급이 없고 화폐의 유동성~
정철수 4
2021년 5월 13일 03:04내 생각에는 미분양 통계가 가장 중요한 자료인데 가볍게 설명하고 넘어가네요.
과거 상승장에는 미분양이 증가하기 시작해서 수년간사람들이 질릴 때까지 공급하고 나서야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지금은 미분양은 커녕 청약경쟁률만 고공행진중.....
공급이 너무 적은 게 과거와 가장 다른 점인데 어찌될 지 두고 보죠뭐.
타이롱 4
2021년 5월 16일 14:43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위험에 대해 대비해야겠네요
별빛엘레나 3
2021년 5월 12일 20:00마이크 ㅋㅋ
김석우 3
2021년 5월 15일 11:50무슨 인덱스 인지 잘 이해가 안가긴 하는데 너무 진지한 데이터 분석이라 오히려 나중에 이 영상 레전드 영상 될까 걱정되네요~
Takoon OH 3
2021년 5월 12일 20:596월에 볼만할거임ㅋㅋㅋ
김민영 2
2021년 5월 26일 17:241~2년은 모르겠는데 3~4년 후면 확실히 위험한듯. 주식도 부동산도 너무 꼭지에서 팔려면 위험성이 그만큼 높은것임. 확률상. 무조건 더간다 내린다 싸우기보다는 상황을 살피다 탄력적 대응을 하는게 투자 성공의 길 아닐까
nang na 2
2021년 5월 12일 19:52비수도권도 입지 좋고 오를만한곳은 이미 너~무 올라 버렸죠.
@moareits 2
2021년 5월 22일 00:491.전세대비 저평가 인덱스:임대차법 때문에 5% 인상율 제한(짱구 소리 하나도 안 맞음) 상황에 안 맞는 데이터
2.소득대비 가격(PIR):이건 인플레 때문에 부동산이 급격히 오른 모수가 빠르기 때문에 소득이 저평가(짱구 소리 하나도 안맞음)
3.물가대비 저평가 인덱스:이건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물가 초기 안올랐는데..이제 막 오르기 시작 원자재..가격 급등(참 짱구소리 계속 통계 기간의 문제)
4.주택 구매력 지수: 이건 정부가 대출 LTV등 투기지역 묶어서 대출 받을 수 없는데 무슨 소리??
5.지역에 사라고? 무슨 짱구소리 똘똘한 한채가 대세인데 세금 때문에 역쉬 전부 지방 소도시 이야기하네.(그냥 1억미만 사라고하면 이해간다 이건 머 밑도 끝도 없네)
6.GDP대비: 이건 최근 인플레 때문에 현금가치 하락 당연히 전세계 GDP는 낮아지고 부동산 올라 가는데 안 맞지(계속 짱구 소리하네)
7.국민 순자산대비 아파트 시총: 이건 머 대한민국 예전부터 문제 부동산에 자산규모가 많은 건 사실(근데 이것도 다주택자가 다수의 자산이 많음. 아직도 무주택자 비율이 높음)
8.금리 인상: 이것도 최근 4년 LTV DSR 등 대출 30%, 40%라서 실제로는 안 맞음 이건 예전 70% 80% 대출 받았으면 문제 대겠지만..가계부채 이야기 하는데(한국은행 국민 가계대출 안정화 기준 참고)
9.서울 공급물량: 3기 신도시 입주 물량 24년 25년 입주?? 진정?? 절대 안된다 최소 28년 되어도 될까 말까인데!!!(계속 짱구 소리하네)
10.주식시장?? 그런데 2020년 1,200때 떨어 졌는데?? 왜 부동산 오르지??(밑도 끝고 없는 짱구 소리) 코인?? 아 노답이네...
11.전세 수급:임대3법으로 묶여 있다가 반전세로 전환 된다...참 무슨 소리 하는지!!
12.미분양:전국에 청약 수요가 폭팔하고 있는데 머 이건 좋은 신호다..(전국적으로 재건축 막음 국토부에서)인정
13.전세가율: 임대3법으로 5%이하로 연장...(알고 그러는지 모르고 그러는지 참 짱구소리 하네)
14.이건 당연한 말 인구가 줄면 결국 외곽부터 떨어진다..그러니 똘똘한 한채 호흥
15.딱 봐도 대세 하락론자 무주택자들이 듣고 싶은 힐링부동산 방송이네 ㅋㅋ 이런 사람들 뒤로는 호박씨까는 스탈..
끝까지 들어 봤는데 짱구 소리...
상우 김 2
2021년 7월 09일 16:20사람들은 역사상 저점일때도 무서워서 못사기도 함
jungkyu choi 2
2021년 5월 13일 11:04정말 잘들었습니다^^
슬굼(슬라임을 못 만지는 유튜버) 2
2021년 5월 28일 16:052,3년안에 고점찍고 하락이라는것은 현재 주식,채권,부동산 시장의 중론입니다
hyo k 2
2021년 5월 13일 15:46제 주변에 많이 가지신분들은 적절한때에 치고 빠지셨더라구요 ... 자금 가지고 있다가 하락세 되면 그때 또 사모으겠지요 .. 무리해서 산 사람들이 못 버티고 파는거 줍줍 돈버는 사람들은 역시 따로 있어요 ..
prollejazz 2
2021년 5월 26일 04:42빚있으면 조땝니다.. 빨리 빚 부터 청산하세요 ..
큰의미 2
2021년 6월 28일 07:37김기원님은 이미 2019년을 고점으로 보고 서울 자산들을 정리했는데, 수익에 가장 중요학 급등기는 그 후에 시작 됨.
고점인건 맞지만 대부분 2023까지는 더 오를껄로 예상함.
김기원님 말대로 경제적 요인만 보면 떨어져야하지만, 정부의 정책이 집값을 오르게 만들수밖에 없음(대표적으로 양도세 중과로 공급을 제한하기때문에)
결론 : 서울 아파트들을 팔아서 손해본 김기원님의... 떨어지길 간절히 바라는 메아리
('2019년부터 서울 아파트 고점이니 지금 꼭 팔아라' 라고 주장했겠지요.. 또르르...)
@오르막-s2o 2
2021년 9월 30일 23:02수도권 집사지 말라고 2년 전부터 얘기하는데.. 내가 이 사람 얘기 믿고 작년 1월에 집 안샀으면 정말 고통스러웠을듯. 지금도 무주택자 듣기 좋은 소리만 하고 있네요.
고장난 시계도 2번은 맞으니까 계속 폭락을 주장하다보면 언젠가는 맞겠죠. 참고로 전 이사람 강의도 들었습니다.
무주택에서 수도권 1주택 구입한다고 한다고 했을때도 고평가라고 사지 말라고 했는데 전 아니다 싶어서 매입했고 지금 실거래로 7억 올랐네요.
지금은 너무 올라서 집을 사라고 얘기는 못하지만 판단은 공부하고 본인이 하시길.
무리뉴 2
2021년 5월 29일 16:40역대 선대인, 이광수부터 폭락론자들이 맞은적이 단 한 번도 없다.
플러스마이너스200 2
2021년 5월 25일 17:47무식의 절정이구만 자재 인건비 안오르는게 없고 구축도 인테리어 못할판 일억 듬 ㅠ
소유리 2
2021년 5월 12일 23:49주식은 기분 좋아 캡춰하면 그게 상투라는데 부동산은 어떨까요?
장기적 우상향은 맞다 보는데 일직선 자산 가격 상승은 없는지라 고민되는 시점인것 같네요.
적당한 조정이라 생각하면 그냥 사는게 젤 속편하지 않을까 싶네요.
바닥을 기다리다가는 그또한 맘 불편해질듯하네요
good굿럭 2
2021년 5월 12일 18:54하지만 하락후 몇 년후 결과적으론 많이 올랐죠. 하락시 디지털화폐로 화폐개혁이
된다면 오히려 하락하지 않을거라 봅니다.
냥이뇽이K 2
2021년 6월 15일 12:05이분은 2018년에 집사라고 했던분임. 여기 댓글보고도 알수 있듯이 상승장 맛보고 취한 사람들은 하락을 절대 생각안함...부동산은 심리이거늘.
김상권 2
2021년 5월 15일 11:50전 개인적으로 김기원대표님이 젤 전문적인거 같아요
Jiho Kim 1
2021년 5월 16일 23:39이런 지표들은 기준이바뀌면 그래프도바뀌죠 임금이오른다거나 순자산이 많아지거나 전세가가 오르거나 하면 과열이 아닌 적정수준으로 보일수도있어요
나이츠 1
2021년 5월 12일 20:02앞으로 대출도 안나오는데..... 하긴..... 쉽진 않겠네
김사랑 1
2021년 5월 12일 19:26와.. 역사적으로 가장심각한 고평가 즉 거품
호수백조의 1
2021년 6월 07일 16:15밑으로는 전북까지 우로는 강원도까지 좋게 본다면 그 중간에 있는 지역은 더 오르겠구만..이분 말대로라면..인천은 그럼 지금 어디를 사놔도 좋겠는데..난 이렇게 해석이 되네요~^^오늘 고맙게 잘 봤습니다..유튜브는 잘 걸러 듣기를 바랍니다..시청자 여러분~^^
mari 1
2021년 5월 12일 19:56이게 무슨 논리인가 ㅋㅋㅋㅋ
안드로메다 1
2021년 5월 12일 20:21아주아주 오래전 몇년전꺼봐도 삿어야하는것 ..
이사비용도 ..생각해야됨
뀨뀨뀨까까까 1
2021년 5월 12일 18:20이런
도곡렉슬 1
2021년 5월 12일 18:29ㅋㅋㅋㅋ
kim bob 1
2021년 5월 12일 18:174번
뉸누냔나 1
2021년 5월 16일 16:23서울은 제외 지방은 진짜 매매조심해야될 시기맞음 지방광역시고 신축어마어마하게 쏟아지는중
청약미달로 후보100순위까지 매매가 돌아가는데..실입주시작도 전부터 전세매물이 단지마다 80개씩 쏟아짐..
Cool Green 1
2021년 11월 08일 21:09댓글 읽으면서 다시한번 느꼈다. 한국에서는 부동산만큼 민감한 이슈가 없음
jg 1
2021년 5월 13일 10:49개인적으로도 이미 고점에 올라섰다 생각하지만 오를때로 오른 부동산 가격이 내려갈 여지가 있는지, 또한 현시점에서 전체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한다면 어떠한 변화가 있어야만 하는지 궁금합니다. .
기억해줘 1
2021년 5월 13일 07:24지금이 상승구간의 거의 꼭지점에 가깝다고 생각은 한다 그러나 지금의 왜곡된 시장은 코로나로인한 인플레이션 하나로만 이루어진것이 아니라 정부의 정책 실패로 이루어졌기에 정부의 정책이 변화하지 않는한 소폭하향 또는 지금의 현 시세가 공급 물량이 나오기 전까지는 변화가 쉽지 않을거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sookyung byun 1
2021년 7월 05일 07:04감사합니다 늘 자주 보는데요 유익하고 정직한 정보 고맙습니다
사하라 1
2021년 7월 15일 11:44사임당님은 언제봐도 유쾌하시군요^^
모시는분들도 모두 괜찮으시구~많이유익하고 좋은정보들 감사드리고 항상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바랍니다~
Jaeyoung 1
2021년 5월 13일 13:56재테크 공부하고 있는 재린이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서 몇 자 적습니다. 아파트 가격 거품이 최대치에 형성되면 아파트 소유주들한테 무조건적으로 호재라고 말할 수 있나요? 정작 수요자들은 거품이 꺼질때까지 다른 방법(월세 등)으로 거주하려고 하기 때문에, 아파트 소유주 (특히 투기목적 아파트 소유주)들은 거품낀 가격에 팔지 못하니깐요. 제 생각에 대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Y 1
2021년 5월 29일 19:17통계나 데이터는 항상 해석하기 나름....
gunchan park 1
2021년 7월 08일 16:05전세가 증가율과 매매가 증가율을 비교하셨다고 하셨는데요.
임대차보호로 상승하지못한 전세가가 기준이면 보정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궁금해서 묻습니다.
Mark Swanson 1
2021년 7월 15일 12:14정부에서 (실제로는) 공급 줄여서 자산 보호해주는데요 ㅎㅎㅎ 양도세때문에 매도도 못하게 (투매방지) 보호하고 있고
동편마덤 1
2021년 5월 15일 04:59설명잘들었습니다~~
@올리비아-r9c 1
2021년 9월 30일 21:57우와~~ 김기원대표님 마이크 안해도 목소리랑 발음 너무 정확하시고 잘 들렸습니다
오히려 마이크 차니까 마이크목소리가 되네요~^^
오늘 영상 감사합니다~~~
Ho Soo 1
2021년 5월 12일 18:39데이터에 아파트 값의 기준은 뭐죠? 실거래가인가요??
Ny P
2021년 5월 30일 13:59두달간 많은 부동산 전문가의 의견들을 들었지만 이분이 가장 믿을만 한것 같네요. 무조건 오른다 떨어진다가 아니고 항상 근거를 대서 접근 하시네요.
BYUNG SEON MIN
2021년 5월 30일 15:57참 힐링이 되는 얘기네. 돈 없는 사람에게는.
강나루
2021년 5월 29일 14:20대한민국의 집값 역대급임은 누구나 압니다. 그렿게 알면서도 집을 지금 사시겠습니까?
김타이거
2021년 5월 12일 21:24솔찍히 매년 사라는사람과 팔라는 사람이 항상있어서 무엇이 답인지 모르겠어요 ㅜㅡ
탄탄대로Won
2021년 5월 16일 00:27궁금한데 저 데이터 인덱스지표 물가대비 아파트매매가 증감율인거면 희소성이주는 수요의 가치는 안들어가있는건가요???
박범구
2021년 5월 12일 20:27아파트 가격이 잘 안떨어지지않나?
새벽
2021년 5월 15일 11:50임대차법으로 집 없어도 전세로도 충분히 거주가능해진 것 같아요..저도 최근까지 경기도아팟 자가거주하긴 했지만.. 임대차보호법 개정으로 애들 학교보내는 동안 이사 2~3번만 다니면 되고..전세 가격이 올라도 전세만 선호하는 분들도 계시고요.. 상승여력 적은 곳은 팔때 매도인이 을..
JH LEE
2021년 5월 12일 18:23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가자스카이
2021년 5월 14일 07:56데이더로 분석한거 많이 와닿네요....사심으로도 믿고 싶어요.
그런데...이게 선거도 있고...약간의 변수도 있지싶네요. 집값 떨어지면...더 떨어질까 겁나서 못사고ㅡㅡ
비싸게 산 사람 열폭하구..
부디...우리 아이들은 열심히 일하고 아껴 모으면 집 살 수 있는 때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연봉을 십원도 안쓰고 10년 모아도 집을 못사는건 말이 안되는거지요.
부디 말씀처럼 되었으면 바랍니다
그냥쏴봤어
2021년 5월 14일 09:14잔인한 6월. 양도세를 내더라도 팔고 싶은데.....조정지역 재건축아파트라 팔 수도 없어요. 종부세는 엄청나고. 살던 집 안 팔고 같은 단지 좀더 큰 아파트로 옮겨 살고 있는데, 두 집 다 팔 수 없고 종부세 폭탄 맞고.....참 우울합니다.
KiKi
2021년 9월 06일 11:28결국 떨어져도 존버가 답이죠 떨어져도 다시 오른다는것..
이선영
2021년 5월 14일 07:47주택담보대출의 전세포함이라는 통계가
주담보보다 전세대출이 뇌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건강한홍대표
2021년 5월 12일 19:25아하......
ssun
2021년 5월 12일 21:15굉장히 유익하네요 잘 들었습니다
라큐엔
2021년 5월 12일 18:164번
김남현
2021년 5월 19일 09:21앞날이야 모르지만 나름 수긍이 가는 내용으로 생각됩니다
우리함께
2021년 7월 12일 20:59마이크가 없는데 그 어느 영상보다 더 잘들리고 발음도 정확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민스 YEOMINS
2021년 5월 12일 21:21부동산 드라마~ 배우로도 데뷔하셨네용!~^^ 응원합니다 ~
김부장의 부자일기 Leverage
2021년 5월 12일 18:215번
최웅철
2021년 5월 12일 19:042007년에라도 반포 아파트샀으면.. 지금 은퇴
Daniel Lee
2021년 6월 05일 17:03M2 대비 부동산 가격 그래프도 그려보세요. 비싼게 아닐 수도 있음.
무야호
2021년 5월 12일 18:195번
지성감천
2021년 5월 18일 16:16고견 잘 들었습니다 매우 공감되는 내용이었습니다
이준희
2021년 5월 16일 16:22자산시장의 거품은 늘상끼었다가 걷히는걸 반복한다. 영상을 제작하신분들말에 100%공감..저금리에 유동성을 사상최대로 풀어놓았기에 전세계적으로 사상최대의 거품이 끼어있다고 보여집니다.
실물경기의 회복속도보다 엄청빠르게 자산가격이 상승했기에 거품이 꺼지는건 당연한 논리이지요..내생각도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2년안에 엄청난 충격이 찾아올거라 예상합니다. 가진자들이야 그때가 또한번의 새로운 기회가 되겠지요.
채권과 금리의 상승이 서서히 진행되는순간이
변곡점이 될겁니다.
디플레이도 무섭지만 인플레이도 엄청 무서운거지요..우리나란 내년 대선이 또하나의 변곡점의 뇌관이 될수도있기에 다른나라보다 더더욱 조심해야될부분들이 많습니다.
phalanx
2021년 5월 30일 17:36소득이 더 높아지면 부동산 값도 오를수 있겠지만 지금 집을 살 수 있는 사람 얼마나 될거며 더 오르면 누가 살 수 있을까? 연 소득 1억 넘어도 현재 가격 감당 못할 거 같다.
L카카
2021년 7월 02일 20:51상승론 하락론 다 맞는것 같아요
성향차이인듯
사놓고 떨어질까 걱정
안사고 거지될까 걱정
부동산으로 스트레스없는 안정적인 시장이 되었음 좋겠습니다
sookyung byun
2021년 7월 05일 07:20부동산시장의 트리거는 주식이다. 아는것이 없는제겐 아하하고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꽃보다꼰대
2021년 5월 15일 09:194~5년전부터 최저임금 상승되고 소득이 올라 상대적으로 부동산이 저평가됐던건 아닌지요
소득이 오른 실수요자들이 주택을 많이 구입한줄 압니다
시간이 지나서 물가도 오르고 국민소득도 오르면 주택가격이 안떨어져도 저평가 될거라고 봅니다
제 생각엔 실거주이시고 여력만 된다면 하루라도 빨리 사는게 좋을듯 합니다
전문가들의 경고에 여태 무주택으로 살다가 올초 부동산 구매하고 후회한 사람으로서 한 말씀드려봅니다
최저임금 올려주신 문재인 대통령님 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