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오래 못간다! - by IMF
IMF에서 나온 흥미로운 보고서 “Understanding the Rise in Long-Term Rates(2021.4.22)”를 보면, 최근의 금리상승은 인플레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적시합니다....
IMF에서 나온 흥미로운 보고서 “Understanding the Rise in Long-Term Rates(2021.4.22)”를 보면, 최근의 금리상승은 인플레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적시합니다....
동남풍 12
2021년 5월 16일 08:115년이면 큰~ 장이 한번 돌고도 남을 시간인데.
5년짜리 상승장은 2000년대 초반 4차 원자재슈퍼사이클때 뿐이었는데요.
이 얘기는 유가 100불까지밖에 못가. 200불은 못갈거야 나 같은 말 아닌가요?
@chlwodydy 9
2021년 5월 16일 13:36내용 들어보면 결국 인플레이션이 최소 몇년은 있을거란 얘기네요 그것도 인플레에 부정적인 IMF 입장이 그정도입니다 인플레를 예상하는 전문가들에 의하면 사상 유례없는 엄청난 인플레이션이 올거라 말하고 있어요
Mark1 9
2021년 5월 16일 11:27박사님 일리있는 말씀이신데...1달 사이에도 수 없는 변동성이 있는 상황에서 단기가 5년내고 중장기가 10년 기준으로 설명하시는건 너무 먼 미래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설명하신게 아닐까 싶은데요. 인플레는 현실로 다가온거고 향후 최소 2~3년도 영향을 줄것은 엄연히 현실인데요. 5년뒤에 인플레영향이 하락할거다라고 하시는건 지금으로썬 사실 무의미한 이야기입니다. 걸러서 듣겠습니다.
워킹홀리데이WalkingHoliday 9
2021년 5월 17일 00:06건강한 토론을 위한 반론 드려봅니다
지금 인플레가 원자재, 특히 원유가 상승 때문이라는 말씀은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저는 오일선물을 오랬동안 거래해왔는데
원유가격은 생산캐파나 저장량보다 인플레에 더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달러가치가 올라갈거 같으면 원유가격은 내려가고, 달러가치가 내려갈것 같으면 원유가격은 올라갑니다.
달러가 원유거래의 결제통화 이기 때문이죠
매월 연준발표 때 비둘기 스탠스에 오일가격은 올라가고, 매파적 스탠스에 오일가격은 내려갑니다
마찬가지로 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 유가상승, 낮게 나오면 유가하락 합니다.
즉, 원유가격 상승이 인플레를 유발하는것이 아니라, 인플레가 원유가격 상승을 유발합니다
전후관계가 바뀌었습니다.
@parkpd777 8
2021년 5월 16일 07:16이미 원자재 상승폭이 장난이
아닌데요.... 원유는 잡힌다
하더라도 다른 원자재는 방법이 없습니다
@welfit3184 8
2021년 5월 16일 10:00전 일시적이 아니라 이제 시동을 걸었다고 봅니다. 연준과 같은 생각이시지만 작년에 풀린돈과 금년에 풀릴 돈을 보면 어느순간 화폐인플레이션이 급격히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요즘 원자재 상승각이 예전과는 완전히 느낌이 다릅니다.
@kwanglee5142 7
2021년 5월 16일 10:095년 이내에는 인플레이션이 있다는 얘기이죠? 그러면 향후 몇년 동안은 인플레가 있을 거라는 얘기네요. 이게 일시적이라고 말할 수 있나요? 2-4년 이면 장기적이지요. 이해가 안되네요.
Yoon Chung 6
2021년 5월 16일 08:39단기적이라는데 단기의 기준이 어느정도 기간을 말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지금 유가는 미국만의 경기 정상화 국면에서도 이렇게 강세인데 하반기 이후 백신 보급이 확산되며 유럽과 아시아 등 다른 지역도 경기가 정상화될 경우 유가가 떨어질 경우보다 더 오를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특히 석유소비 3위 국가인 인도가 코로나 재확산으로 석유소비가 급격하게 위축된 상황에서도 유가가 이렇게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인도의 코로나 사태가 진정국면에 들어선다면 이는 유가강세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까요?
물론 공급도 늘어나겠지만 올 하반기만 놓고 보면 공급증가 속도보다 수요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오승수 6
2021년 5월 16일 07:05영상 감사합니다. 그럼 인플레는 단기적이라 향후 장기금리상승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고도 볼 수 있을까요?
@samkim3021 6
2021년 5월 16일 09:45이때까지 IMF 및 경제학자들의 예측은 항상 수정되어 왔습니다. 과거의 데이터를 가지고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예측일 뿐이죠.
Kim Dohun Addict 5
2021년 5월 16일 22:45너무 섹시해서 사람인가 싶을정도.....영상 감사합니다.
인간성기사코코몽35세 4
2021년 5월 16일 10:36현 시중금리 상승은 일시적인 현 일시적 인플레에 대한 기대감에(ex 유가상승) 따른 인플레고 장기적인 금리상승은 경제가 성장함에 따른 금리상승이 더큰 요인이 될것이다. 이거같네요 다음달 소비자 물가지수가 좀 큰 변수일듯??
@lee78013 3
2021년 5월 16일 10:52여름 초 인플레이 예상합니다
누구나 예상은 하죠 ㅋㅋ
@감사합니다민이라고해 2
2021년 5월 16일 19:45영상 잘봤습니다~감사합니다
뾱뾱 2
2021년 5월 16일 20:12금리 20프로 상승 가즈아!!!!!!!!!!!!
@히카두와 2
2021년 5월 16일 11:13인플레 보다는 출생율 문제가 더 심각해 보이네요
쭌오 1
2021년 5월 16일 10:57교수님 안녕하세요? 수업듣다 좋아서 구독했어요^^
근막시 1
2021년 5월 17일 15:48중요한건 금리인상아 어느정도 지속될까요?
이전승철이 1
2021년 5월 16일 07:02아씨 엊그제 물가연동채랑 금융이랑 산업재 원자재 샀는데...스트레스받어 그냥 올웨더식으로나 넣어야하나
@SolarK-r7l 1
2021년 6월 18일 04:38대니얼 카너먼의 명저 '생각에 관한 생각'을 읽고 거기서 나오는 손실회피편향으로 생각해보면 대중들의 심리관점에서 홍박사님이 평소에 이야기 하시는 '인플레가 왜 수요를 찍어눌러 디플레를 유발시키는지' 에 대해서 이해하게 됐습니다. 역시 보이는것이 전부의 원리는 어디에나 적용되는거 같습니다.🥲
@sjy2909 1
2021년 7월 13일 21:11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달러예금시 수수료가 많이 발생하지 않은지요??
@노데이비드-w4w 1
2022년 5월 14일 14:27역사상 유래없는 인플레이션이 찾아온 지금 홍박사님 영상 다시 보니 감회가 새롭네요..대놓고 인플레 일시적이라며...ㅋㅋ대놓고 틀린 전망
김민정 1
2021년 5월 16일 13:53너무 도움되는 정보들예요. 항상 잘 듣고있습니다.
김미온 1
2021년 5월 22일 20:45일시적인 인플레를 예측한다면 조기 테퍼링 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제가 듣기론 올 연말쯤 한국도 금리인상을 단행할꺼라고 하던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고견 문의드립니다.
김현숙 1
2021년 5월 16일 10:03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sini c 1
2021년 5월 16일 06:46잘보고 있습니당♡아침형인간이라 하루를 박사님 영상으로 시작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Jaycee 1
2021년 5월 16일 16:39코로나 전만해도 디플레걱정이었는데
지금의 인플레걱정은 과도한것이라 생각되네요자동화에 기술발전에 필수품들은 모두 원가가 낮아지고 공급싸이클은 짧아지고 있잖아요
고용회복은 커녕 중장기감소중인데 오히려 이런 자본소득증가 고착화가 더 걱정입니다
@knoc3635 1
2021년 5월 16일 12:44FED도 앵무새처럼 지금 인플레는 일시적이다, 지속 가능한 인플레가 오면 그때 생각해보겠다고 말하고있죠..
@컴제비 1
2021년 5월 16일 08:08늘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jayh1087 1
2021년 5월 16일 22:46친환경때문에 셰일가스 못채취하게하는것, 코로나 소비묶여있던것이 한번에 풀리면서 일시적 수요증가 및 혹시 몰라서 재고 리스타킹 등 새로운 변수들이 존재하는데 유가 하나로 설명하는건 너무 일반화시키는것 아닐까요?
@황재훈-s2z 1
2021년 5월 16일 20:20성장주 사세요
@라니아케아-v5o 1
2021년 5월 16일 08:46주식 시장보다 큰 채권시장은 금리상승은 없다고 협박중닷?
@yummy-mandoo 1
2021년 5월 16일 19:231)5년 이내 단기 채권 금리상승의 원인은 인플레임
:현재 모든 원자재 가격이 고점인며 여파로 1~4년내의 단기 금리 상승국면 일것 이다.
2)5년 이후 채권 금리상승의 원인은 실질금리 상승임
:5년후금리가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다만 경제학자들이 예측하기로 금리가 상승 추세일것 같고 그 이유는 경기가 좋아짐에 따른 실질 금리 상승일 것이다.
결론:
5년 이후 경기가 살아난다면 원자재 가격오름 ->물건가격 오름->임금 상승하는 경기 선순환 시점에서 실질경기로 인한 금리상승이 나타날테니 "원자재 인플레로 인한 금리인상은 일시적"
5년 이후 경기가 여전히 안좋다면 물건을 만들어도 안팔릴테니 원자재 가격이 다시 떨어질테고 "현재 인플레는 일시적인 상황"이 될 것이다
이래되든 저리되든 인플레는 일시적임
@percentone1325
2021년 6월 02일 17:01제가 최근에 KBS다큐 "팬데믹 머니" 1부를 유튜브로 시청했는데 지난 2008년 리먼사태이후 돈을 엄청나게 풀고 회수한 번 안했는데 코로나 사태까지 터져 리먼사태 이후 푼 돈 이상으로 또 풀었더라구요. 과연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일지 상당히 의심이 가는 지점입니다.
물론 이 다큐 부제가 '무제한 양적완화 실험은 성공할 수 있을까?'인데 이게 성공하면 인플레가 오래 못갈 수도 있긴하겠지만, 결국 이런 현금살포가 일자리 증가나 임금은 못올리고 대신 자산가격만 폭등시켜 이미 많은 자산을 가진 부유층의 자산만 더 크게 부풀려 양극화만 더 심화시켰다는 얘기인데 이건 또 어떻게 해결해야될지...
*팬데믹 머니 : https://www.youtube.com/watch?v=8g014fj6smI&list=PL1IimxrAB8fbEqMrZDVY7jIx98bTHTRq4&index=1&t=1s
@뱅쿠키
2021년 5월 24일 01:03정보가 유익합니다.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ooshin3569
2021년 5월 16일 07:55감사합니다
@jjang_jjang_
2021년 5월 16일 09:10오늘 영상도 재밌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대표님
@트리니티-c1j
2021년 5월 16일 20:13어느 날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역사 책을 손에 넣게 되어 저자 약력을 보게 됐어요. 딱 6년 과선배시더라고요ㅎ
엄청난 지식과 지혜, 그로 인한 영향력으로 유명하신 분이었는데 제가 몰라 뵈어 죄송했습니다ㅎㅎ 과선배님들 자주 못뵈었는데, 자랑스럽고 반갑습니다!! 선배님~~ 홧팅이에요!
종종 잘 듣고 있습니다!
@dotoridotori8046
2021년 5월 16일 14:51진짜 인플레를 보려면, 예전부터 홍박사님이 말씀하신 근원인플레이션율이 중요하겠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aple
2021년 7월 22일 02:30그동안의 궁금증,시원하게 해소하고 갑니다.
요점 위주의 짧은 시간내의 설명, 딱 제가 찾던 채널 이네요.
구독 + 좋아요 + all 알람 설정하고 갑니다.
Ryan Mac Kim
2021년 5월 16일 06:51👍
@신재정-z8r
2021년 5월 16일 10:23잘 듣고 갑니다♡♡♡♡
Sharklee's Outdoor
2021년 5월 17일 15:27오늘도 잘 보고 갑니다.
명목국채 및 Tips 시장에서의 가장 큰손인 연준이 명목국채와 Tips의 매입비율 및 보유비율을 조절하면서 필요에 따라 시장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에 대한 가이던스를 조정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드는데 이에 대한 홍박사님의 해설을 요청드려도 될련지요?^^
@gaenganwa
2021년 5월 16일 10:03감사합니다. 10년미국채금리 상승 상단이 어느 정도 라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2.0은 찍을수 있을까요? 연준은 금리 인상은 할수 있나요?
@saintjung4951
2021년 5월 16일 12:34언제나 산뜻한 강의 이십니다~~
entopia
2021년 5월 16일 18:40감사합니다^^
kelly han
2021년 5월 16일 11:34정보 감사합니다 ^^
@nbnb1212
2021년 5월 16일 22:06체인지 그라운드에서 교수님 영상을 귀담아 듣지 않아 후회하고 있는1인 입니다~ 경제공부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
@flamablereal311
2021년 6월 13일 22:48금리를 낮추고 양적완화를 하고 재정을 써도 M2가 그만큼 안늘어나는것 같아요..
레드 코끼리
2021년 5월 16일 07:19감사합니다
@user-qf8kp4vb7f
2021년 5월 29일 10:32최근에 읽은 글 중에,
앞으로의 인플레이션에는 유가보다 중국의 임금이 중요한데 중국의 노동임금이 올라가고 있고, 해외 저임금 노동력으로 나갔던 공장들이 고임금 의 본국에 리쇼어링으로 돌아오면서 앞으로 인플레이션을 장기적으로 강하게 일으킬 것이다, 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노동자들의 소득이 올라가는 것에 회의적이신 것 같은데 위의 의견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또, 양극화에 의해 고소득자들이 늘어나는 현상을 고려해도 인플레이션은 단기에 그칠 것으로 판단하시나요?
저로서는 이해하는 것도 어려운 문제라서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공.투공부하는투자자
2021년 5월 16일 23:05원유를 제외한 , 다른 원자재 가격 상승(철광석, 구리등)은 어떻게 보시나요? 오히려 코로나 창궐 직전인 2020년 초와 원유가격(대략 40~50불대)과 비교해보면 훨씬 무섭게 오르고있습니다. 한동안 소비를 하지 못했던 사람들의 보복소비, 그리고 저금리로 자산가격이 크게 올라간 사람들의 잉여자금 소비등이 혹시 인플레의 또다른 요인이 될수있지는 않을까요?
새나라
2021년 5월 16일 09:07늘 감사히 잘 듣고 있어요.♥♥
snow ball
2021년 6월 01일 22:04인플레이션 보다는 양극화가 가져올 경제 사회 변화가 더 걱정이 됩니다. 없는 계층은 주거 비용 상승해 다른 소비를 줄일 테고 있는 계층은 고가품 소비나 늘릴 테니 일반적인 소비경제에 도움이 안될 것 같아요.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hyoungilsong2792
2021년 6월 15일 22:47으으으
장그루누이
2021년 5월 16일 09:46저물가 시대는 계속되겠네요.
일시적인 수급 불안에서 오는 물가상승이라...
@nidxhkkkyfc
2021년 5월 16일 11:30이번 상승 장에 못 올라탄 주린이인데요
5년 내 단기적 인플레이션 상승이
저에게 시장 진입의 기회를 줄까요?
jason
2021년 5월 16일 10:48미국 돈 거둬드려야하는데 그래도 앞히노 저금리 저성장 저물가 시대가 계속 될까? 아니면 고금리 저성장 저물가 고금리 고성장 저물가 일 가능성은 없일까 긍금합니다!
복돌
2021년 5월 20일 09:31이미 인플레가 와서 아파트가격 폭등으로 나타나지 않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