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이 가장 공정한 방법이라고요? | 김상봉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 교육 시험 공정 | 세바시 1365회
강연자의 강연 소개 : 한국사회에서 모두가 차별을 정당화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학벌'에 의한 차별입니다. 좋은 성적을 얻어 상위 대학을 나온 사람은 그렇지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한국사회에서 모두가 차별을 정당화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학벌'에 의한 차별입니다. 좋은 성적을 얻어 상위 대학을 나온 사람은 그렇지 ......
Sage Son 25
2021년 5월 19일 14:17시험만이 공정하게 평가를 할 수 있는 수단인 것은 아닐지언정 현 사회에서 시험만큼 공정한 평가 수단도 없지 않을까요
ᄋᄋᄋᄋᄋ 17
2021년 5월 19일 13:38전남대는 김일성 분향소를 차린 유일한 집단이라죠?🤣🤣
sj park 15
2021년 5월 19일 14:43시험이라는게 그래도 먼가 혜택과 자원의 영향에 소외된자들에게는 기회가 될수있지않을까요
물론 능력주의 의 횡포는 말이 안되지만, 올바른 방향으로만 잡는다면 누군가에겐 기회가 될수있습니다.
artman 113 15
2021년 5월 19일 14:01시험이 가장 공정하지
조국,조민 보면 알지
Design Z 10
2021년 5월 19일 14:12시험이 가장 공정하지 ^^ 시험 못 본다고 못사는거 아니고 잘본다고 잘 사는것도 아님. 밥은 왜먹냐?
sbaby01 01 10
2021년 5월 19일 14:30시험의 대안을 얘기하시려나 본데 얼마나 좋은 대안을 말하는지 한번 보죠ㅋㅋ
Jazz kang 9
2021년 5월 19일 14:20그쪽인가보네ㅋㅋㅋ
sally Kim 8
2021년 5월 19일 14:37빨갛다.
GDtoday BYJ 7
2021년 5월 19일 13:54짤에 질문이 부족합니다. 시험나름일 것이고 왜 시험이 필요한 것이며 시험이 정말 필요없는 걸까요?
FORMVP FORFREE 5
2021년 5월 19일 16:01이번 영상엔 동의가 어렵군요. 어떻게 사는 사회가 옳은 사회입니까? 데모잘하는 사람이 잘 사는 나라? 온갖 편법을 저지르고도 당당한 사람이 잘 사는 나라? 노력없이 무임 승차하는 사람이 잘 사는 나라?
인국공사태 같은 일이 일어나는 사회가 옳은 사회입니까? 전남 지역 학교의 교수님이라 그런 생각을 하시는 듯 한데요. 전적으로 동의가 어렵습니다~
bopp yves 3
2021년 5월 19일 15:53제목을 잘못지은듯. '시험 잘 봐야'만' 잘사는 사회~' 이렇게 했으면 몰라도 시험이 엄연히 필요한 분야에선 시험 잘 봐야 잘사는 사회가 공정한거죠~ 그리고 5년전이면 또 몰라도 지금에 와선 시험 잘 봐야만 잘사는 사회도 이미 벗어난걸요. 주변에 보면 시험이랑 거리가 멀었어도 각자 퍼스널브랜딩 잘해서 잘먹고 잘사는 사람들 너무 많아요ㅋㅋ
카카 2
2021년 5월 19일 15:57ㅋㅋㅋㅋ
내삶이 사교육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예체능이었어
뱁새 2
2021년 5월 19일 18:07시험이나 테스트가 없으면 무엇으로 그사람의 능력을 판단할수 있나요..??
밍크목도리 2
2021년 5월 19일 17:16그럼 조민처럼 조국같은 사람을 아버지로 둔 사람이 의사되는 사회가 옳은 사회인가 아니면 자기가 열심히 노력해서 시험봐서 잘된 사람이 옳은 사회인가 초등학교나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수 있는 거 아닌가
공정과 공평 정의가 흐린하게 한 정부의 시대를 사는 사람으로 잘못한 사람들은 벌을 받았으면 한다
kl asdfghj 1
2021년 5월 19일 16:33노력한 만큼 잘사는 사회가 좋지요
시험을 잘 본다는 것은
그나마
노력의 객관성이 있지요
그러나
현실은
두뇌부터
불공정한데
ㅡㅡㅡ
강의가 기대되네요
Jeongman Lee 1
2021년 5월 19일 17:38노력해서 시험을 잘 봐도 못사는 사회로 가고있는것 같은데...
BM K 1
2021년 5월 19일 18:16시험성적과 능력과는 별개이지만 어떤 사람의 능력을 평가할 대안이 마땅치 않은게 문제인거 같다. 그래서 능력이 있지만 시험성적이 좋지 않으면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게 현실이니 어찌하랴.....
대충출판사 1
2021년 5월 19일 18:16문제는 시험이 아니라 그 공정한 경쟁조차
편법과 뒷거래로 회피하고
더 높은 보상을 받는 것이 문제입니다 (ex 수시)
김아뉘 1
2021년 5월 19일 17:20언제는 그런 사회가 아니였나ㅋㅋ 과거시험에 수백년을 목메던 우리민족인데. 시험만큼 공정한 것도 없다
Jy Kim 1
2021년 5월 19일 18:14고입부터 대입..취업까지 이미 고른기회랑 사회배려대상자는 모두 혜택을 주고있지요...누군가는 부모의 이득으로 쉬운 선택이 가능하고...너무 많은 혜택과 배려는 평범한 사람들에겐 위아래로 눌려 상대적 박탈감을 준다고 생각합니다...성적이던 성장평가던 "평범함"이 손해라는 인식을 키워주는 것이 안타깝습니다. 최소한 교육분야는 사회복지나 정치적 논리를 떠나 철학적 가치를 지킬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해요.
min kang 1
2021년 5월 19일 17:27시험이 아니면
객관적으로 번호를 찍고
그것을 숫자로 된 점수화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릅니다.
한국은 민도가 낮고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낮아
아는 사람 뽑고 친한 사람 몰아줍니다.
이상적인 것을 말하기 전에 현실을 한번 보세요...
조국을 지지하는 촛불이 서초동에서 사법권을 위협했던 나라입니다.
Jinny park 1
2021년 5월 19일 18:15시험이 가장 공정한거 같은데요?
시험성적 잘나오려연 노력해야 하는데?
그럼 북한처럼 출신 성분에 따라 잘살아야 하나요? 부모잘만나서 이상한 전형으로 의대가는 사람보다는 정당히 성적순대로 가는 사회가 공정한거 같은데요?
그리고 한국은 시험을 잘본다고 잘살지 않습니다 원하는 대학이나 학과 시험에 붙는거지.
잘사는 기준이 뭔가요? 돈 많이버는거?
공부 잘한다고 돈 많이 버나요?
요즘 아닌거 같은데?
본인이 원하는 대해 학과 그외 시험을 붙는거에서 시험접수보다 더 공정할수 있는게 있나요?
동키
2021년 5월 19일 17:45다수의 실패자들은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되는가..
이은미
2021년 5월 19일 14:57잘봤어요
제이러브
2021년 5월 19일 18:20시험은 정해진 부분이나 틀의 기준 위에서 빨리 그리고 많이 해온 사람들을 필요와 불필요에 의해 깔끔하게 처리하는 도구 같달까요. 누군가는 돌을 보면서 서서히 천천히 만물을 느끼고 세상을 알아가는 사람이 있는 반면 누군가는 숫자를 가지고 노는 데에 흥미가 있을 수 있겠죠. 저는 시험이 공정하다기보다는 컷트라인을 두고 사람을 쳐낼 수 있는 수단이랄까요. 왜 인간은 부정부패를 저지를까요? 컷트라인 안에 들어가려고 우리는 선을 밟기도 하죠. 뭐가 중요한 지 순서가 바뀐 것 같아 통탄스러워요. 시험이 공정하다면 부정부패와 같은 부스러기들을 일으키지 않겠죠. 각자의 달란트가 다르고, 그들이 깨닫고 영감을 받는데에 타이밍이 서로 다르죠.반면에 사회는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젊었을 때 고생하는 루트로 들어가면 신세를 바꾸기는 쉽지 않아요. 저마다 다르게 가진 것들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열었으면 좋겠네요. 시험은 그 중 하나의 방법이었으몀 좋겠어요.
양맨
2021년 5월 19일 18:12시험은 어찌보면 그 당시의 성실성의 지표일 뿐인 것 같습니다
중요하지만 절대 그게 전부가 아니고 단지 일시적인 행위에 불과한
많은 사람들은 그 당시의 나를 온전한 나로 믿고 살아가는거죠
이수목
2021년 5월 19일 17:57시험? 공부하는 기술일 뿐인디? ㅋㅋㅋ. 학생은 공부해야지 뭐. 근데 내가 살아보니 공부가 전부가 아니드라고. 학생 때 에술, 육체, 글공부 중에 하나 해라고 그래. 그게 돈 잘 버는 방법이니겡. 장사는 아무나 하나?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2021년 5월 19일 14:31[책이벤트] 김상봉 강연자에게 시청소감 또는 질문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참여기간 5/19~5/26, 당첨발표 5/27, *책랜덤배송)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한국사회에서 모두가 차별을 정당화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학벌’에 의한 차별입니다. 좋은 성적을 얻어 상위 대학을 나온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능력있을 거라는 생각입니다. 이런 선입견에 의해 한국 교육은 시험을 잘 치르는 평범한 모범생을 배출해 왔습니다. 창의성이 중시되는 4차산업혁명 시기에 우리 사회에는 어떤 교육이 필요할까요?
✻ 김상봉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혜택/커리큘럼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gAQXT6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 더 깊은 공부, 세바시 대학 https://class.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 세바시 유튜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강연은 물론 멤버십 전용 콘텐츠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http://bit.ly/2URQKU4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배종욱
2021년 5월 19일 17:10문제 속에 답 다 있는, 정답은 정해져 있는
그런 문제들 잘 풀어서 대학 잘 가고, 성적 잘 받은 인간에게
질문부터가 엉터리일 수 있는 문제, 답은 합의하기 나름인 문제
그런 문제 풀 권한을 죄다 갖다맡기는 나라가 되었다.
좋은 학벌을 위해 무엇을 요구하는가, 그래서 학벌 좋다는 사람에게 주는 자리는 어떤 자질을 필요로 하는가
이걸 따져볼 줄 아는 사람이 좀만 더 많았어도 지금보다 훨씬 괜찮은 사회가 됐을 텐데...
zoe
2021년 5월 19일 16:59한번의 시험으로 평생을 우려먹는 나라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2021년 5월 19일 14:31[책이벤트] 김상봉 강연자에게 시청소감 또는 질문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참여기간 5/19~5/26, 당첨발표 5/27, *책랜덤배송)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한국사회에서 모두가 차별을 정당화하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학벌’에 의한 차별입니다. 좋은 성적을 얻어 상위 대학을 나온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능력있을 거라는 생각입니다. 이런 선입견에 의해 한국 교육은 시험을 잘 치르는 평범한 모범생을 배출해 왔습니다. 창의성이 중시되는 4차산업혁명 시기에 우리 사회에는 어떤 교육이 필요할까요?
✻ 김상봉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세바시 대학에 입학하세요. 내일을 바꾸는 배움은 물론, 여러분도 스피치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
혜택/커리큘럼 자세히 보기 👉🏻 https://bit.ly/3gAQXT6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 더 깊은 공부, 세바시 대학 https://class.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 세바시 유튜브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강연은 물론 멤버십 전용 콘텐츠까지 누릴 수 있습니다. http://bit.ly/2URQKU4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