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에게
제1부. 치유의 원리
1. 사랑(생명)의 본질
사랑(생명)이란/몸은 허상이다
2. 사랑(생명)을 찾아야 하는 이유
마음이란/욕망과 만유인력의 법칙/자기주장과 관성의 법칙/
사랑과 작용 반작용의 법칙/절망의 이유/생명의 신비/사랑 받으려면
3. 사랑(생명)을 찾는 법
‘나’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나’를 찾는 지름길/우리 마음속의 보석/
고통의 이유/신의 은총/사랑(생명)을 찾는 최고의 방법
0 인간관계로 인한 고통의 치유
0 물질(돈)로 인한 고통의 치유
0 언어(지식)로 인한 고통의 치유
0 동일시로 인한 고통의 치유
제2부. 관조를 통한 치유
1. 인간관계로 인한 고통의 치유
연인과의 관계에서의 고통의 치유
아내(남편)와의 관계에서의 고통의 치유
부모(자식)와의 관계에서의 고통의 치유
2. 심리 분석을 통한 고통의 치유
질투의 치유
미움의 치유
스트레스의 치유
선입관의 치유
불행의 치유
고정 관념의 치유
억압의 치유
지식으로 인한 고통의 치유
갈등의 치유
심적 고통의 치유
콤플렉스의 치유
비난의 치유 1
비난의 치유 2
제3부. 이해를 통한 치유
1. 현상의 이해를 통한 치유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에 대한 이해
희생에 대한 이해
남자와 여자에 대한 이해
영생에 대한 이해
종교에 대한 이해
2. 사랑(생명=삶=죽음=신)의 이해를 통한 치유
사랑에 대하여
사랑의 고뇌에 대하여
생명의 지혜에 대하여
삶에 대하여
죽음에 대하여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에 대하여
신에 대하여
더보기
우리의 본질은 ‘빛’이요 ‘생명’이요
‘사랑(자비)’ 그 자체이다
우리의 본질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우리의 경험이 존재할 수 있도록 한 바탕 세계, 즉 영원히 변치 않는 실체인 ‘생명’ 그 자체이다. 거울 속의 그림자가 우리의 본질이 아니라, 거울 자체가 우리의 본질이다. 필름 속의 영상이 우리의 본질이 아니라 필름을 비추는 빛이 우리의 본질이다.
우리의 본질은 ‘빛’이요 ‘생명’이요 ‘사랑(자비)’ 그 자체이다.(p19)
세상에는 수없이 많은 고통이 존재한다. 연인 사이, 부부 사이, 부모 자식 사이, 그 외 수많은 인간관계 속에서. 그런데 그 고통의 근원을 파고 들어가면 궁극적으로 그 원인은 바로 우리 마음속의 ‘나(에고ㆍ我相)’다. 서로 간의 조화를 무시한 ‘나’의 욕망과 집착, 그것이 모든 고통의 원인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그의 체험과 그 외 여러 사람들의 체험을 토대로 ‘마음의 치유’에 대해 탐구해 보았다. 그것을 위한 방법론으로 도입한 것이 ‘생명(사랑)’과 ‘나(에고)’라는 개념이다. 이 책의 내용을 좀 더 쉽게 이해하려면 ‘생명(사랑)’과 ‘나(에고)’라는 개념을 먼저 분명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기존의 모든 경전과 철학에서 말하고 있는 진리를 저자의 체험을 바탕으로 최대한 현대적인 언어와 상황으로 쉽게 재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철학이나 종교는 너무나 형이상학적이고 추상적인 언어로 되어 있어, 보통사람들이 접근하기에는 너무나 어려웠다. 저자가 그 동안 철학과 종교에 관심을 가져오면서 가장 안타까웠던 점은, 이런 진리를 좀 더 쉬운 언어로 전달할 수는 없을까 하는 것이었다. 즉 진리의 생활화가 아쉬웠다. 진리란, 자연(생명)의 이치를 말하는 것인데, 저자는 이 책에서 그런 이치를 아주 쉽게 설명하려고 했다.
여러분이 이 책을 통해서 ‘아, 진정한 사랑이란 이런 것이로구나!’ ‘아, 인생이란 이런 것이로구나!’라는 것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면 저자의 안타까움은 많이 해소될 것이다. 나아가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를 구속하고 있는 ‘나(에고)’의 정체를 분명히 이해하여, 세상과 자신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영원한 생명의 자유를 마음껏 누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