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을 내면서
지은이의 말
1. 스트로볼로스의 마법사
2. 나치의 망령을 쫓아내다
3. 염체가 운명도 바꾼다
4. 초능력의 증거들
5. 업(카르마)
6. 마법사의 지나온 삶
7. 죽음에서 환생까지
8. 신과의 만남
9. 우주의 비밀
10. 지구의 수호자
11. 악마의 정체
12. 영혼의 의사, 신유가
13. 기적의 실체
14. 남은 이야기들
옮긴이의 말
더보기
독자들의 성원으로 18년 만에 이루어낸 《지중해의 성자 다스칼로스》 전3권 완역!
“아까 잠깐 낮잠이 들었는데 나는 다스칼로스의 집에 가 있었다. 한 번도 본 적 없는 하얀 벽을 한 집 … 기다란 카펫이 깔린 복도 … 하얀 팔걸이 의자 … 제법 커다란 원탁에 사람들이 둘러앉아 다과를 나누며 도란도란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 모든 것이 마치 눈으로 본 것처럼 선연했다. 내 아스트랄체가 정말 키프로스로 날아갔던 것이 아닐까!”
“내가 내 삶을 선택하고 창조하고 있다는 것을 빼도 박도 못하게 만들었던 책”
“마치 성경을 들여다보듯이 늘상 끼고서 탐독하는 책”
다스칼로스는 1912년에 분쟁 많은 지중해의 작은 섬나라 키프로스에서 태어났다. 겉모습으로는 공무원 생활을 하다가 은퇴한 평범한 할아버지였지만, 실제로는 죽은 자의 세계를 마음대로 넘나들고 지고한 절대자의 사도로서 불가사의하고 초자연적인 힘으로써 병든 사람들을 치료하는 신유가(神癒家)였다. 그의 신비한 능력을 두려워한 사람들은 끊임없이 ‘마법사’, ‘악마와 내통한 주술사’ 따위의 헛소문을 퍼트렸지만, 그는 사람들의 건강과 행복, 영적 성장과 자각을 위한 일에 평생을 바쳤고 그의 집에는 도움을 구하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의심 많은 사회학자인 저자는 1978년부터 십여 년간 불세출의 신비가 다스칼로스와 교류하며 직접 보고 들은 그의 기적적인 일상과 가르침을 꼼꼼히 기록한다. 저자는 물질법칙에 근거한 일체의 선입견을 배제한 채 다스칼로스를 관찰하고, 이 신비가는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한가?”라는 저자의 끝없는 물음에 최선을 다해 알기 쉬운 말로 답해준다.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한순간에 치유하고, 유체이탈을 통한 보이지 않는 차원의 봉사에 헌신하며, 전생과 환생ㆍ천사와 악마ㆍ우주의 비밀ㆍ초월적인 박애사상 등을 거침없이 설하는 지중해의 성자 다스칼로스. 동서양의 모든 종교와 종파를 초월한 사랑으로써 상처받은 영혼들을 끌어안았고 병든 이의 카르마까지 주저함 없이 대신 짊어졌던 그의 삶과 가르침은 그가 사망한 1995년 이후에는 제자 코스타스를 통해 지금까지 계승되고 있다.
※ 《지중해의 성자 다스칼로스》 제1권은 《스트로볼로스의 마법사》(1991), 《영혼의 마법사 다스칼로스》(2001)의 개정판이다. 제2권은 《사랑의 마법사 다스칼로스》(2002)의 개정판이다. 제3권은 신간으로, 2008년 초 출간 예정이다.
“정말 경탄할 만한 책이다. <그루지예프에 대한 우스펜스키의 보고서> 이래, 한 불가사의한 인간에 대한 가장 비범한 기록 중의 하나라고 확신한다.”
― 콜린 윌슨(Colin Wilson)
기적을 일상처럼 일으키며 저 너머의 세계를 이웃집 드나들듯 하는 키프로스의 신비가 다스칼로스. 20세기 현대사회의 한복판에서 동서양의 신비전통을 온몸으로 증명했던 그의 놀라운 삶과 가르침이 낱낱이 펼쳐진다.
더보기
'여러 생을 통해서 많은 사람을 죽인 자가 어떤 사람의 사랑을 받아왔다고 가정해 봅시다. 두 사람 간의 사랑의 유대는 수세기에 걸쳐서 형성된 것입니다. 그 사람은 이미 대부분의 빚을 갚고 필요한 교훈을 깨우쳤다고 다시 가정합시다. 그를 사랑하는 사람은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그의 카르마를 일부 받아들이게 될 수가 있는 것입니다.'-1권 p114 중에서
'어떤 전생이 실제인지를 확실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생의 탄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평생을 다시 살 수 있어야만 하네. 모든 중요한 사건들을 완전히 알 수 있어야만 한다네. 그 전생에 의식을 집중시킬 때마다 일관성 있게 같은 내용을 볼 수 있어야만 하는거야.'-2권 p142 중에서
'우리가 누군가를 살해했다면, 우리는 자신의 죽음의 목격자가 될 것이네. 누군가를 살해하는 순간, 우리는 이미 자신이 살해될 계약서에 서명한 것일세. 슈타이너가 맞았어. 칼로써 살면 결국 칼로써 죽을 것이야. ...'-3권 p269 중에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