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의 역설 좌뇌라는 해석장치 에고적 마음은 어디에서 왔는가? 투명한 해석기 신화, 시간을 초월하는 거대한 패턴 실재와의 접점을 유지하기 영원할 가치가 있는 건 무엇? 하지만 이건 거의 일어날 뻔한 거라구… 이해한다는 것이 무슨 뜻인가? 불평 없는 하루 뇌, 물질세계 그리고 당신 아닌 무엇 되기 드라마를 지켜보며 타인을 나 자신으로 보기 엑스맨: 도끼를 든 남자 결론 따위는 없다
주석 및 참고문헌 역자 후기
더보기
출판사 책소개
좌뇌의 허풍에 대한 폭로로 시작해서 인간의 본성과 삶의 의미까지 파고들어가는 기상천외한 자기부정의 여행
내가 보고 있는 ‘세상’은 진짜 세상일까? 내가 보고 있는 ‘나’는 진짜 나일까?
우리가 거울 앞에 섰을 때 보이는, 우리가 내면을 들여다볼 때 보이는, 우리가 개선하려 노력해 마지않는 ‘나’라는 것은 결코 실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나’가 아니라 내가 존재한다는 ‘생각’이다. 즉 에고라는 것은 좌뇌에 의해 생겨난 허구의 이미지, 관념, 믿음에 불과하다. 하지만 좌뇌가 벌이는 이 에고 게임의 교묘함은 거의 무한대에 가깝다. 예를 들어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명쾌하게 답한 사람이 역사상 단 한 명이라도 있었는가? 언어라는 것 자체가 좌뇌의 도구이므로, 말해질 수 있다면 그것은 이미 답이 아니게 된다. 이런 식으로 우리가 어떻게든 이 게임을 우회하거나 끝낼 방법을 찾아내려 할수록, 우리는 필연적으로 그 안으로 더 깊숙이 끌려 들어가는 딜레마를 경험하게 된다.
왜 에고를 없애려 애쓸수록 더 많은 에고를 경험하게 되는가? 왜 평화로워지려 애쓸수록 더 많은 갈등과 마주하게 되는가?
마음을 통제해서 뭔가를 이루려고 할 때, 우리의 노력은 항상 정반대의 결과만을 불러온다. 모든 것을 범주화, 관념화, 사물화, 양극화하는 좌뇌의 정보처리 방식 때문이다. 당신은 "숫자 3을 떠올리지 마세요"라는 글을 읽고서 숫자 3을 떠올리지 않을 수 있는가? 생각으로 다른 생각을 없앤다는 발상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마치 "조용히 해!"라고 소리 질러서 고요함을 창조해내려고 시도하는 셈이기 때문이다.